WO2015183012A1 - Dental impression tray - Google Patents

Dental impression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83012A1
WO2015183012A1 PCT/KR2015/005358 KR2015005358W WO2015183012A1 WO 2015183012 A1 WO2015183012 A1 WO 2015183012A1 KR 2015005358 W KR2015005358 W KR 2015005358W WO 2015183012 A1 WO2015183012 A1 WO 20151830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y
impression
dental impression
protrusion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5358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권오달
권혁수
Original Assignee
권오달
권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6417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36770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8263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04128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5054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51105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5315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53701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6992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136133A/en
Application filed by 권오달, 권혁수 filed Critical 권오달
Publication of WO20151830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8301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ression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ression tray comprising: an outer tray formed from a hard sheet material and having a handle at one side thereof; and an inner tray inserted into the outer tray and having a hole which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rough which an impression material can pass.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separa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revent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leaking out, and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inner tray.

Description

치과 인상용 트레이Dental impression tray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와 내부트레이로 구분되되 상기 내부트레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ole)이 형성됨으로써, 인상재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나가 흐르지 않고 내부트레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so that a hol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penetrates is formed in the inner tray,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easily separated but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flow out so that the inner tray can be replaced. It relates to a dental impression tray.
또한, 본 발명은 인상채득(impression taking) 과정은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에 대해 동시에 이루어지고, 인상채득 후의 석고를 부어 넣는 과정은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에 대해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세트를 이루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impression taking) is made at the same time for the upper and lower jaw in the upper and lower trays combined, the process of pouring the plaster after the impression taking the upper and lower trays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ray for dental impressions in which the maxillary tray and the mandibular tray are detachably coupled to form a set so as to be made separately for the maxillary and the mandible.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부위를 본뜨고자 할 때에 사용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및 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투명 가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ental impression tray used to imitate an implant site and a transparent guide tray suitable for use therein.
치과 인상용 트레이(Dental Impression Tray)란 치아(齒牙)의 결손이나 손상이 있는 환자의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인상을 채득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기구를 말한다.Dental Impression Tray (Dental Impression Tray) refers to a dental device used to obtain the impression in order to produce a dental prosthesis of the patient with a missing or damaged tooth.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사람의 구강 조직과 치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인상재 수용부(11)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는 치아에 대응하는 바닥부(13)와 테두리(14)로 구성되고, U자형 단면을 갖는 형태이다. Conventional impression tray 10 is shown in Figure 1,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11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ral tissue and teeth of the person, and the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12). The receiving portion 11 is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13 and the edge 14 corresponding to the teeth, and has a U-shaped cross section.
이러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겔(gel) 상태의 인상재가 인상재 수용부(11)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치아 및/또는 잇몸에 가압함으로써 치아 및/또는 잇몸의 본을 뜨고, 이렇게 만들어진 트레이에 석고를 주입하여 치아의 형상을 만들게 된다. This dental impression tray is a pattern of teeth and / or gums by pressing the tray on the teeth and / or gums in the state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n a gel (gel) is fill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11, and plastered on the tray thus made Inject the shape of the tooth.
이때 치아 및/또는 잇몸에 트레이를 가압하여 본 뜬 후에는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상재와 트레이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면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상재의 일부가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tray is separated from the teeth after pressing the tray to the teeth and / or gums. In this process, i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tray is weak, a part of the impression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tray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ray from the teeth. The phenomenon occurs.
인상재가 트레이에 단단히 고정되지 못하여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움직이거나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면 정밀한 인상 채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석고를 주입하는 과정에서도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f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firmly fixed to the tray and move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ray from the teeth or is separated from the tray,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recise impression, and the problem also occurs in the process of injecting plaster.
이에 따라, 인상재와 트레이 간의 결합력을 치아와 인상재 사이의 결합력보다 강하게 하여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인상재가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였다.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mak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tray strong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eth and the impression material to prevent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ray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ray from the teeth.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are formed in a dental impression tray.
트레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를 치아 및/또는 잇몸에 가압하는 동안 잉여 인상재의 일부가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밀려나가게 된다.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밀려나간 인상재는 관통홀의 말단에서 넓게 퍼지게 되므로, 트레이를 치아로부터 분리할 때, 관통홀 자체의 마착력과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밀려나간 인상재가 트레이에 걸리게 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인상재가 트레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Whe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ray, a portion of the surplus impression material is pushed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while pressing the tray to the teeth and / or gums. Since the impression material pushed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spreads widely at the end of the through hole, when the tray is separated from the teeth, the impression material pushed out of the through hole and the impression material pushed out of the through hole are caught by the tra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그러나 이와 같이 관통홀(22)을 가지는 트레이의 경우에는 상기 관통홀(22)을 통하여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흘러내리기 쉽고, 이렇게 흘러내린 인상재가 환자의 입안으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상재가 상기 관통홀 내부를 관통하여 굳어진 다음에는 상기 관통홀로부터 인상재를 떼어내기가 어렵고, 화학약품을 이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힘들게 인상재를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ray having the through-hole 22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easily flows out of the tray through the through-hole 22, and the impression material thus flowed down enters the patient's mouth. In addition, after the impression material is hardened through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the through hol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must be removed by using chemicals or physically.
한편, 치아시술에서 상하악 구강상태에 대한 인상채득(impression taking)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경우에는 상악이나 하악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먼저 인상채득하고 나서 그 다음에 반대편을 인상채득하였기 때문에 인상채득 과정이 번거로워 환자의 불편함이 많았고 시간도 상당히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악에 대해 동시에 인상채득할 수 있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가 제안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impression taking for the upper and lower jaw oral state is often required in dental procedures.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impression was acquired first for either the maxilla or the mandible, and then the impression was taken on the opposite side,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was cumbersome,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and wasting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ray for dental impression has been proposed that can simultaneously raise and lower the upper and lower jaw.
도 30은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0a는 상하악 전치부를 주로 채득하기 위한 것이고, 도 30b는 상하악 구치부를 채득하기 위한 것이다. 3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601, Figure 30a is mainly for obtaining the upper and lower jaw anterior portion, Figure 30b is for obtaining the upper and lower jaw molar portion.
도 30a 및 도 30b를 참조하면,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는 기저부(630)에 치아 앞쪽 테두리(610)와 치아 뒤쪽 테두리(640)가 설치되고, 치아 앞쪽 테두리(610)에는 손잡이(620)가 설치된다. 기저부(630)는 인상재가 잘 달라붙을 수 있도록 부직포와 같은 직물지로 이루어지고, 치아 앞쪽 테두리(610)와 치아 뒤쪽 테두리(640)는 골격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30A and 30B, the conven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601 is provided with a tooth front rim 610 and a tooth rear rim 640 at the base 630, and a handle (b) at the tooth front rim 610. 620 is installed. Base 630 is made of a fabric such as non-woven fabric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n stick well, the front edge of the teeth 610 and the rear edge of the teeth 64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o serve as a skeleton frame.
도 30a의 경우에는 치아 앞쪽 테두리(610)가 골격틀 역할을 하지만, 도 30b의 경우에는 치아 앞쪽 테두리(610)와 치아 뒤쪽 테두리(640)가 연결틀(650)에 의해 연결되어 이들 전체가 하나의 골격틀 역할을 한다. In the case of FIG. 30A, the front edge of the tooth 610 serves as a skeleton frame, but in the case of FIG. 30B, the front edge of the tooth 610 and the rear edge of the tooth 64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frame 650 so that all of them are one. It serves as a framework for.
도 31은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에 대한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1a에서와 같이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의 기저부(630)의 윗면과 아랫면을 덮도록 인상재(660)를 채운다. 그리고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를 위아래로 물게 한 후 이를 빼낸다. 그러면 도 31b에서와 같이 기저부(630) 윗면의 인상재(660)에는 상악본(670a)이 형성되고, 기저부(630) 아랫면의 인상재(660)에는 하악본(670b)이 형성된다. 3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conventional impression tray 601. First, as shown in FIG. 31A, the impression material 660 is filled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630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Then, the operator bites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up and down, and then pulls it out. Then, as shown in FIG. 31B, the upper jaw 670a is formed on the impression material 66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30, and the lower jaw 670b is formed on the impression material 66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630.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를 물었다가 입을 다시 벌릴 때에 인상재(660)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에서 떨어져 나오지 않고 달라붙어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의 경우에는 인상재(660)를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에 붙잡아 둘 만한 별다른 특별한 구성이 없기 때문에 인상채득 과정에서 인상재(660)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에서 탈착되어 버릴 염려가 많다. When the patient bites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and opens the mouth again, the impression material 660 should stick to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without falling off.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601, the impression material Since there is no special configuration to hold the 660 to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660 may be detached from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during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그래서 인상재(660)가 단순히 기저부(630)의 윗면과 아랫면을 덮도록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상재(660)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에 점착되는 부분이 많도록 좀 더 많은 양을 사용하여 인상재(660)가 치아 테두리(610, 640)를 오버플로우하여 뒤덮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인상재(660)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Thus, the impression material 660 simply cover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630, and further, the impression material 660 is used in a larger amount so that the por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660 adheres to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It is common for 660 to overflow and cover the tooth rims 610 and 640. Therefore, a large amount of impression material 660 can not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cost is wasted.
인상채득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악본(670a) 및 하악본(670b) 중 위를 향하도록 놓인 곳에 석고(680)를 먼저 부어 석고(680)가 굳을 때까지 기다린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31c에서와 같이 상악본(670a)에 석고(680)가 먼저 부어지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상악본(670a)에 부어진 석고(680)가 굳은 후에는 도 31d에서와 같이 하악본(670b)이 위를 향하도록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를 뒤집어서 하악본(670b)에 석고를 붓고 굳을 때까지 기다린다. After the impression is made, the plaster 680 is first pour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jaw 670a and the lower jaw 670b and waited until the plaster 680 is harde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shown in FIG. 31C, the gypsum 680 is first poured on the uppermost bone 670a. After the plaster 680 poured into the upper jaw 670a is hardened,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lower jaw 670b faces upward as shown in FIG. 31D. Wait until
이와 같이,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는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악에 대해 동시에 인상채득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도 31c 및 도 31d에서와 같이 상하악본(670a, 670b)에 대해 석고(680)를 동시에 부을 수 없고 어느 한쪽에 대해서 석고(680)를 먼저 부은 후 석고(680)가 굳을 때까지 기다린 다음에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를 뒤집어서 나머지 다른 한쪽에 석고(680)를 부을 수밖에 없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impression tray 601 of the conventional dental impression is made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and lower jaw as shown in FIG. 31B, the upper and lower jaw 670a and 670b are as shown in FIGS. 31C and 31D. It is not possible to pour the gypsum 680 at the same time, and to pour the gypsum 680 first on either side, wait until the gypsum 680 is hardened, and then turn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upside down and the gypsum 680 on the other side. There is no choice but to call.
이 때, 먼저 부어넣은 석고가 굳는 과정에서 열과 석고의 부피변화가 발생하는데, 반대편에는 아직 석고가 의해 채워져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이러한 열과 부피변화에 의해 인상재(660)에 형태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생긴다. 즉, 도 31c에서 도 31d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인상재(660)에 형태변형이 일어난다는 말이다. 그러면 결국 하악본(670b)이 변형되어 실제와는 다른 하악모형이 얻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a volume change of heat and gypsum occurs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the first poured gypsum, but since the other side is not yet filled with gypsum, the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660 is caused by such heat and volume change. Occurs. That is, the shape deformation occurs in the impression material 660 in the process from FIG. 31C to FIG. 31D. As a result, the mandibular book 670b is deformed to obtain a mandible model different from the actual one.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는 상하악 모형을 만들기 위하여 석고를 부을 때에 어느 한쪽에 석고를 부어 넣고 이들이 굳은 다음에 다른 쪽에 석고를 부어넣기 때문에 먼저 부어넣어진 석고가 굳는 과정에 인상재(660)에 형태 변형이 일어나 실제와 같은 구강모형을 얻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석고를 따로 따로 굳혀야 하기 때문에 양쪽 석고를 굳히는데 시간이 많이 소용된다. 그리고 인상채득할 때에 인상재(660)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상재(660)가 쓸데없이 과다 소비되는 문제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601 pours plaster on one side when the plaster is poured in order to make the upper and lower jaw models, and then the plaster is poured on the other side because the plaster is poured on the other side. In the impression material 660, the deformation occurs, so it is difficult to obtain a realistic oral model. In addition, because the plaster must be set separately, it takes a lot of time to set both plaster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660 is unnecessarily excessively consumed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660 is not detached from the dental impression tray 601 when the impression is taken.
한편,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나사모양의 티타늄 합금으로 된 인공치근, 즉 픽스쳐(fixture)를 치조골에 심은 후에 픽스쳐 주위의 뼈가 아물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prosthesis)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implant (plant) implants an artificial tooth root, i.e., a fixture of a screw-shaped titanium alloy in the alveolar bone, and when the bones around the fixture become healed and harden, the abutment is attached thereon. This is done by installing prosthesis, an artificial tooth.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치아형태에 맞게 맞춤형으로 보철물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는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인상재로 본떠서 정확한 복제석고모형을 제조한 후 이 모형을 가지고 해당 피시술자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한다. In this implant procedure, it is most important to make a precisely positioned prosthesis in accordance with the tooth shape of the subject and to accurately position it. For this purpose, this model is manufactured after an accurate replica plaster model is produced by imitating the implanted part with an impression material. Make a prosthesis for the subject.
이 때, 임플란트 인상채득 방식으로 잘 알려진 공지기술로는 픽업 방식(pick-up style)과 트랜스퍼 방식(transfer style)이 있다. At this time, well-known techniques known as implant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s include a pick-up style and a transfer style.
여기서, 픽업 방식은 픽스쳐(fixture)에 체결되는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이 인상재에 박히도록 치아본을 뜬 후 복제석고모형을 만드는 것인데, 임프레션 코핑이 주변 치아보다 위로 더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치아본을 뜨는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체결에 사용되었던 코핑 스크류(coping screw)를 푸는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코핑 스크류와 임프레션 코핑이 인상 트레이 밖으로 관통하여 나오도록 인상 트레이에 관통홀을 형성시켜야 한다. Here, the pick-up method is to create a replica gypsum model after floating the tooth bone so that the impression coping fastened to the fixture is imbedd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impression coping is installed to protrude upward more than the surrounding teeth, and also the tooth Since the process of loosening the coping screw used to fasten the impression coping is required during the shaping process, a through hole must be formed in the impression tray so that the coping screw and the impression coping penetrate out of the impression tray.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관통홀을 형성시켜야 할 위치를 인상 트레이에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어서 대충 그 위치라고 생각되는 부분에 눈짐작으로 여유있게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position at which such a through hole is to be formed cannot be precisely specified on the impression tray, so that the through hole can be easily formed by a guess at a part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position.
그러다 보니 관통홀이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되어 인상재가 이 부위로 과다하게 누설됨으로써 인상재가 쓸데없이 과다하게 소비될 뿐만 아니라 인상채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과다하게 크게 형성된 관통홀 부위를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막고서 본을 채득해야 하는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As a result, the through-hole is formed unnecessarily large,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excessively leaked into this area,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consumed excessively and the impression acquisition is not made correctly. Or it was inevitable to obtain the bone by blocking the excessively formed through-hole part using a different materi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이와 함께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 흐르지 않고, 또한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힘들게 트레이로부터 인상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bonding force for attaching the impression material, while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and also can be used to replace only the inner tra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Accordingly, to provide a dental impression tray that does not need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the tray as conventional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하악의 구강상태를 동시에 인상채득함으로써 시간절약과 함께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석고가 굳는 과정에서 인상채득 부위가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며, 나아가 인상재의 절약도 도모할 수 있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the impression of the upper and lower jaw at the same time to reduce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with time-saving, solve the problem of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taking part in the process of hardening plaster, further sav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ntal impression tray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인상 트레이의 정확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및 이에 사용되는 투명 가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nd then based on this to allow the through-hole to be formed in the exact position of the impression tray for dental impressions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t is to provide a tray and a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외부 트레이; 및 An outer tray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of a U-shaped cross section and formed of a hard plate, and having a handle for holding a user on one side; And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inner tra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the inner tray having a hole (hlo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ass.
여기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uter tray preferably does not have a hol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ass.
그리고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The inner tray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과 측면은 0.5mm~5.0mm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preferably has a thickness within the range of 0.5mm ~ 5.0mm.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밀착되는 외측면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ner tray may have an out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측부는 상단에 상기 내부 트레이 상단을 지지하도록 안쪽으로 돌출된 제1 둔턱을 가질 수 있다. The outer tray may have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forming the inner space, and the side portion may have a first barrier protruding inward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inner tray.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측면은 상단에 상기 둔턱에 걸리도록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시밍부(seaming portion)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tray may have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the side tray may have a first seaming portion formed to be bent inwardly so as to be caught by the barrier at an upper end thereof.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 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ap maintaining part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outer tray and the inner tray.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인상재가 부착되지 않는 표면층을 가지고, 상기 내부 트레이는 인상재가 부착되는 표면층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the outer tray may have a surface layer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attached, and the inner tray may have a surface layer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attached.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상기 내부 트레이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have a fastening means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inner tray to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외부 트레이와 상기 내부 트레이 상단이나 측부 또는 하단에 걸쳐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is preferably located over the top, side or bottom of the outer tray and the inner tray.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측부 상단에는 상기 삽입된 내부 트레이의 측면를 밀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분리관통구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outer tray has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forming the inner space, it is possible to form a separation through the top of the side portion that can be lifted by pushing the side of the inserted inner tray.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외부트레이의 측부와 상단을 감싸는 상단굴곡부를 갖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tray may have a top bent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and the top of the outer tray.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와 측부가 만나는 내측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The outer tray may have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an inner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meet may have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외부 트레이의 측부는 상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둔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ide of the outer tray preferably has a second barrier protruding outward on the top.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의 상단굴곡부는 상기 둔턱에 걸리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시밍부(seaming portion)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inner tray has a second seaming portion formed to be ben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o be caught by the barrier.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내부 트레이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astening means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inner tray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is preferably installed.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돌출관통부를 관통한 돌출부에 결합되는 체결클립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형상 둘레에는 상기 체결클립이 결합되는 홈으로 형성된 돌출부넥(neck)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The inner tray has a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n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plate, the outer tray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can penetrate, the fastening means penetrates the protrusion through It is preferably a fastening clip coupled to the protrus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rotrusion neck formed as a groove to which the fastening clip is coupled may be formed around the cylindrical shape.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부체결구멍을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체결구멍에 대응하는 외부체결구멍을 가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내부체결구멍과 외부체결구멍을 관통하는 체결봉일 수 있다. The inner tray has an inner fastening hole on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ft plate, the outer tray has an outer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inner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means has the inner fastening hole and the outer fastening. It may be a fastening rod penetrating the hole.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끝단에 돌출헤드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관통부는 상기 돌출헤드가 관통하는 돌출헤드관통부와, 상기 돌출헤드관통부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돌출헤드관통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돌출헤드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tray ha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 of the soft plate, the outer tray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can penetrate, the protrusion has a protrusion head at the end, The protruding portion penetrating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 protruding head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head penetrates, and a protruding head coupling portion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at of the protruding head penetrating portion.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반구형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볼록부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를 내면에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The inner tray may have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ft plate, and the outer tray may have a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convex portion may be accommodated.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끝단에 형성된 돌출헤드와, 상기 돌출헤드로부터 상기 돌출부 내부에 형성된 이격부와, 상기 돌출헤드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출부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 외면에 지지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tray ha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plate, the outer tray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can penetrate, the protrusion is a protrusion head formed at the end, A separation part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from the protruding head and a lower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head may pass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to b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ray.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측면은 상단에 안쪽으로 돌출되어서 안상재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tray may have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the side surface may protrude inwardly at an upper end thereof to block the external leakage of the ocular material.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과 측면 중 하나 이상은 표면에 형성되어서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has a protrusion formed on the surface to attach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protrusion has a larger diameter as it moves away from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have.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과 측면 중 하나 이상은 표면에 형성되어서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은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has a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to attach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groove has a larger diameter as it moves away from the surface. It may be to have.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임플란트핀이 관통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임플란트핀이 관통되는 임플란트관통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The outer tray preferably has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forming the inner space, and the bottom portion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implant pin passes. The inner tray may have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may have an implant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implant pin passe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또는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일면에는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of a hard or soft plate having an internal space consisting of a U-shaped cross-section, having a handle for holding the user on one side, the inside One surface forming the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or groove is formed to attach the impression material.
상기 돌기 또는 홈은 상기 일면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rusion or groove preferably has a larger diameter as it moves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one surface.
상기 일면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측면이고, 상기 측면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안쪽 타단에는 막대 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의 돌기가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one surface i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forming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ro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other end direction from the one end from the outer one end of the side, the plurality of More preferably, some of the protrusions are not formed to the inner other end.
상기 다수개의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돌기공백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돌기공백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have a protruding blank that is not formed to the inner other end. 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have a protrusion blank groove that is not formed to the inner other end.
상기 일면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측면이고, 상기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위치인식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ne surface is a side and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inner sp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recogni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side.
상기 내부 트레이의 외부 측면에 파지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gripping portion integrally protrudes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nner tray.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손잡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안착홈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파지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tray may have a seating groove open to receive the gripp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per and to be seated on the handle. The width of the seat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equal to the width of the gripping portion.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uter tray is molded and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형성된 측면 안쪽 상부에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The inner tray may have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ide on which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 각각이,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is made, including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each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기저판; 및A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상기 기저판의 윗면에 돌출 형성되는 치아테두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A dental borde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Consisting of,
상기 상악트레이의 기저판 아랫면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기저판 아랫면이 서로 등 지도록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세트를 이루며, 상기 상악트레이의 관통공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관통공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결합시에 상기 상악트레이의 관통공은 상기 하악트레이를 이루는 기저판의 막혀있는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악트레이의 관통공은 상기 상악트레이를 이루는 기저판의 막혀있는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xillary tray and the mandibular tray are detachably coupled to form a set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tra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tray of the mandible tra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hrough holes of the maxillary tray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mandible tray are alternately disposed. When the coupling, the through-hole of the upper tray is located in the blocked portion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lower tray,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ray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blocked portion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upper tray.
상기 관통공은 상기 기저판의 윗면에서 아랫면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to be wider toward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상기 관통공을 둘러싼 형태로 상기 기저판의 아랫면에 하부측면유출방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 끝단은 상기 하악트레이의 기저판에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혀있는 부위에 닿고, 인상재가 다른 곳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 끝단은 상기 상악트레이의 기저판에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혀있는 부위에 닿은 상태로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form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end of the upper tray reaches the blocked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is not formed in the base plate of the lower tray, the impression material The lower end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tray of the lower tray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tray is preferably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in contact with the blocked portion where the through-hole is not formed Do.
상기 상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외측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외측은 서로 면접(surface contact)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of the lower tray is preferab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surface contact).
상기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윗단 입구가 상기 관통공보다 커서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가 상기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art is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protrudes into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art to form a locking step.
상기 치아테두리의 안쪽 면에 세로로 세워진 돌출바가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 중 일부는 상기 치아테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바 중 상기 관통공 상에 위치하는 돌출바는 밑단이 상기 관통공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protrusion bars vertically er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oth rim are installed side by side,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tooth rim, and protrusion bars disposed on the through hole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 bars.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hem is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의 결합이 제위치에서 일어나도록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결합유도부가 상기 상악트레이의 기저판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기저판 중 적어도 하는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coupl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upling so that the coupling of the maxillary tray and the mandibular tray occurs in plac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base plate of the maxillary tray and the base plate of the mandibular tray.
상기 기저판에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대신에 인상재가 잘 달라붙을 수 있는 본딩물질이나 부직포를 기저판의 윗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인상재의 탈착을 방지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속한다. It is als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desorp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by attaching a bonding material or a nonwoven fabric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stick well instead of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base plate.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트레이는,Guid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installed in the tooth portion of the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uide marker to express the position coordinates in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implanted.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nother object,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트레이;A guide tra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determine a position at which an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installed in a tooth portion of the oral cavity, and having a guide marker formed to represent a position coordinate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치아부에 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의해서 표현되는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곳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매칭되는 관통위치 표식부가 형성되는 인상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imitate the site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to be snapped to the tooth part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guide tray,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guide mark part. An impression tray in which a through position marker is formed to match the guide mark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이 때, 상기 인상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로 구분되고,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mpression tray is divided into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so as not to fall off the inner tray is preferably formed.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nother object,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 트레이의 역할을 겸하는 가이드 트레이; 및A guide tra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rving as an outer tray so as to determine a position at which an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installed in a dental part of the oral cavity; And
상기 가이드 트레이를 통하여 확인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함께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An inner tray installed inside the guide tray to form a through hole with the guide tray with respect to an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identified through the guide tray; By being made, including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가 한 몸체로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는 인상 트레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uide tray and the inner tray serve as impression trays imitating a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s a body.
이 때,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ner tray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so as not to fall off.
상기 내부 트레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tray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하기 위한 가이드 표식부가 상기 가이드 트레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mark portion for expressing the position coordinate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is formed in the guide tray.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바닥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 및A tray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bottom thereof; And
상기 개방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바닥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ottom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to block the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바닥부재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vinyl material.
상기 트레이 몸체의 바닥 위부분에 인상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몸체에 인상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tray body to accommodate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상기 인상재 캐치부는 좌우 양옆 및 윗부분은 막히고 아랫부분은 개방되는 오목홈 형상을 하도록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to have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portion are blocked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상기 인상재 캐치부는 상기 오목홈 형상으로 옆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측벽을 의미하는 캐치부 측벽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concave groove sideways, and the catch portion side wall, which means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groove, has a square cross section.
상기 캐치부 측벽은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atch portion sidewall ha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whose thickness becomes thinner toward the side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캐치부 측벽은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에서 들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atch portion sidewall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side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container.
상기 캐치부 측벽은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tch portion sidewall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 바닥 각각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의 개방부 또는 외부 트레이의 개방부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cluding an inner tray and an outer tray, an opening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tray and the outer tray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member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s installed to block the opening of the inner tray or the opening of the outer tray. do.
상기 바닥부재는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vinyl material.
상기 내부 트레이에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inner tray is preferably formed.
상기 인상재 캐치부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inner tray.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통하여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이와 함께 경질 판재로 형성된 외부 트레이를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상재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화학약품을 이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힘들게 트레이로부터 인상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bonding force for attach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rough the inner tray having a hole (hlo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enetrate,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tray formed of a hard plate together with this can d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an effect of easily removing the impression material, but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tra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replacing only the inner tray. It is possible to use, and thus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the tray using a chemical or physically difficult a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악의 구강상태를 동시에 인상채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인상채득 과정이 간단하고 시간도 절약된다. 석고를 붓는 과정이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에 먼저 석고를 붓고 굳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른 한쪽에 석고를 부어넣는 종래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에 대해서 양쪽에 석고를 함께 부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양쪽에서 석고가 굳는 총시간이 종래에 비하여 단축되고, 한쪽의 석고가 굳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부피변화에 의해 다른 쪽이 영향을 받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인상채득 과정에서 인상재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많은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상재를 과도하게 사용할 필요가 없어 인상재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jaw can be acquired at the same time,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s simple and saves time. Since the process of pouring the gypsum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trays are separated,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the conventional process of pouring the gypsum on one side and then pouring the plaster on the other side. In other words, the plaster tray can be poured into both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so that the total time for the plaster to be hardened on both sides is shorten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re is no problem affected. In addition, since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need to be detached from the dental impression tray during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because there is no need to use the impression material excessive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 가이드 트레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인상 트레이의 정확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관통홀을 쓸데없이 크게 형성시킬 필요 없어 인상재의 과다소비 없이 정확한 인상채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exact position of the impression tray based on this after accurately identifying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using the transparent guide tray,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through hole unnecessarily large. Accurate impression acquisition can be achieved without excessive consum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판재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te-shaped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홀(hole)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e-typ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y for dental impressions easy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측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ner tray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hole formed in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돌기 및 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trusion and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1 둔턱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1 시밍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irst barrier formed in the outer tray and the first seam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상단에 형성된 차단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b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ra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를 분리 및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astening means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outer tray and the inner tra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 트레이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외부 트레이 바닥부에 형성된 돌출부관통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tray bottom surface and a protrusion through portion formed on an outer tray bottom as a tray enga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체결클립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astening clip coupled to the protrusion of FIG. 10;
도 12는 도 10의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가 결합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1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n inner tray and an outer tray of FIG. 10 are coupled;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체결구멍과 외부체결구멍 및 이를 관통하는 체결봉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ner fastening hole and an outer fastening hole and a fastening rod penetrating the tray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돌출헤드와 돌출헤드관통부 및 돌출헤드결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Fig. 1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truding head, the protruding head through portion, and the protruding head engaging portion as the tray enga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볼록부와 오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as the tray enga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이격부와 걸림턱을 가지는 돌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trusion having a spaced portion and a locking jaw as a tray enga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분리관통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eparation through hole formed in the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상단굴곡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upper bent portion formed in the inner tra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2 둔턱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제2 시밍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econd barrier formed in the outer tray and a second seam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의 바닥부에 임플란트핀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n opening through which an implant pin penetrates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of an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의 바닥면에 임플란트핀이 관통하는 임플란트핀관통부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pin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implant pi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개구부 및 임플란트핀관통부로 임플란트핀이 관통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Fig. 22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where the implant pin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and the implant pin through portion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일자형 돌기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straight projection is formed inside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일자형 돌기 중 일부 돌기가 돌기공백홈을 가지고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som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projections formed inside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jection blank groove;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외측에 형성된 위치식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sition identification portion formed outside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파지부와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안착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Figure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gripp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tray and the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의 측면에 형성된 단턱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inner tray of FIG. 26;
도 28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의 측면과 바닥면에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28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hole formed in the side and bottom surface of the inner tray of FIG.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의 측면과 바닥면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29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hole (net) formed in the form of a net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inner tra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ental impression tray 601;
도 31은 종래의 치과 인상용 트레이(601)에 대한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conventional impression tray 601;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32 to 3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3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unit (1140, 1240);
도 36은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3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art (1140, 1240);
도 37은 관통공(1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rough hole 1130;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의 형태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3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의 또 다른 형태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40 and 41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form of modification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3 및 도 44는 도 42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43 and 44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FIG. 42;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7은 도 46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4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FIG. 46;
도 48 및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48 and 49 are views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50 and 51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2 및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52 and 53 are views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4 및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54 and 55 are views for describ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00: 외부 트레이 110: 제1 내부공간100: outer tray 110: first inner space
120: 손잡이 121: 개구부120: handle 121: opening
130: 바닥부 140: 측부130: bottom 140: side
141: 안착홈 150: 제1 둔턱141: seating groove 150: the first barrier
160: 분리관통구 170: 제2 둔턱160: separation passage 170: the second barrier
180: 돌출부관통부 181: 돌출헤드관통부180: projecting portion through portion 181: projecting head through portion
182: 돌출헤드결합부 183: 오목부182: protrusion head engaging portion 183: concave portion
190: 외부체결구멍 200: 내부 트레이190: outer fastening hole 200: inner tray
210: 제2 내부공간 220: 홀(hole)210: second interior space 220: hole
221: 돌기 222: 홈221: protrusion 222: groove
223: 돌기공백부 224: 돌기공백홈223: projection blank 224: projection blank
225: 위치인식부 230: 바닥면225: position recognition unit 230: bottom surface
231: 임플란트관통부 240: 측면231: implant passing portion 240: side
241: 파지부 241a: 파지면241: holding part 241a: holding surface
241b: 지지면 242: 단턱부241b: support surface 242: stepped portion
242a: 지지턱 250: 제1 시밍부242a: support jaw 250: first seaming portion
251: 차단부 260: 상단굴곡부251: breaker 260: upper bend
270: 제2 시밍부 280: 돌출부270: second seaming portion 280: protrusion
281: 돌출부넥(neck) 282: 돌출헤드281 projection neck 282 projection head
283: 볼록부 284: 이격부283: convex part 284: spacing part
285: 걸림턱 290: 내부체결구멍285: engaging jaw 290: internal fastening hole
300: 간격유지부 400: 체결수단300: space maintaining unit 400: fastening means
410: 체결클립 420: 체결봉410: fastening clip 420: fastening rod
500: 임플란트핀 500: implant pin
1002: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 dental impression tray
1100: 상악트레이 1110, 1210: 기저판(base plate)1100: maxillary tray 1110, 1210: base plate
1120, 1220: 치아테두리 1121, 1221: 치아 앞쪽 테두리1120, 1220: tooth border 1121, 1221: front edge of tooth
1122, 1222: 치아 뒤쪽 테두리 1130, 1230: 관통공1122, 1222: Tooth rim 1130, 1230: Through hole
1140, 1240: 하부측면유출방지부 1150, 1250: 돌출바1140 and 1240: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s 1150 and 1250: protrusion bar
1151, 1251: 언더컷 1160: 손잡이 1151, 1251: Undercut 1160: Handle
1180: 걸림턱 1200: 하악트레이1180: Jam Jaw 1200: Lower Tray
1270: 결합유도부 1270: coupling guide
2001: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 Dental Impression Tray
2010: 가이드 트레이 2011: 치아수용부2010: Guide Tray 2011: Dental Receipt
2012: 손잡이 2013: 가이드 표식부2012: Handle 2013: Guide Markers
2013a, 2023a: 숫자표시부 2013b, 2023b: 중심표시부2013a, 2023a: numeric display part 2013b, 2023b: center display part
2013c, 2023c: 구간표시부 2020: 인상 트레이2013c, 2023c: Section display section 2020: Impression tray
2020a: 외부 트레이 2020b: 내부 트레이2020a: outer tray 2020b: inner tray
2021, 2121, 2221: 인상재 캐치부 2022, 2105: 인상재 수용부2021, 2121, 2221: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2022, 2105: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on part
2023: 관통위치 표시부 2024: 걸침부2023: penetrating position display unit 2024: hook portion
2025: 후크 2100: 트레이 몸체2025: hook 2100: tray body
2101: 임플란트 픽스쳐 2101': 기공용 아날로그(lab analog) 2101: implant fixture 2101 ': lab analog
2102: 임프레션 코핑 2103, 2103': 코핑 스크류2102: Impression Coping 2103, 2103 ': Coping Screw
2104: 수용부 측벽 2110: 복제석고모형2104: side wall of the receiving part 2110: replica gypsum model
2111, 2201: 개방부 2112: 바닥부재2111, 2201: opening 2112: bottom member
2122: 캐치부 측벽 2210: 외부 트레이2122: catch portion sidewall 2210: outer tray
2220: 내부트레이 2220: inner tray
t1: 캐치부 측벽(2122)과 인상재 수용부(2105) 바닥 사이의 틈t1: gap betwee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2122 and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2105
t2: 캐치부 측벽(2122)과 수용부 측벽(2104) 사이의 틈t2: gap between catch sidewall 2122 and receiving sidewall 2104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치아(齒牙)의 결손이나 손상이 있는 환자의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인상을 채득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치아 및/또는 잇몸을 인상하기 위한 트레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ntal impression tray' refers to a dental instrument used to obtain an impression in order to manufacture a dental prosthesis of a patient with a defect or damage of a tooth, and the tooth and / or gum It includes all the trays to rais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측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에 형성된 홀(hole)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y for impression impressions easy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inner tray si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artially enlarged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hole formed in the inner tray.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상재 분리가 용이한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크게는 외부 트레이(100) 및 내부 트레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here, the tray for impression impression easy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largely.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110)을 가지고 경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120)를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구강 내부의 악궁 형태로 만곡되면서 인상재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공간(110)에 인상재 또는 내부 트레이(200)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부(130)와 상기 바닥부(130)로부터 연장되어 U자형 단면으로 돌출되는 측부(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에 의해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110) 형성이 가능하다.The outer tray 100 is formed of a hard plate having an inner space 110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and has a handle 120 for holding a user on one side. That is, the outer tray 100 is curved in the form of an arch of the oral cavity to form an edge supporting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side, and a bottom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impression material or the inner tray 200 in the inner space 110 ( 130 and a side portion 140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30 and protruding in a U-shaped cross section. Thus, the bottom portion 130 and the side portion 140 may form the inner space 110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이러한 외부 트레이(100)는 종래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ole)을 가지고 있지 않은 판재형 또는 평판형 트레이일 수 있고, 그것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회 이상 또는 영구적인 사용을 위하여 딱딱한 경질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홀이 없는 판재형 또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outer tray 100 may be a plate or flat type tray which does not conventionally have a hol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enetrate, and the material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used for two or more times or for permanent use. It is preferred to be made of a hard hard material, and more preferably, made of metal. The outer tray 100 may be made of a plate type or flat plate without a hole,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may not escape to the outside.
상기 손잡이(12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것으로 외부 트레이(100)의 일측에 연결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외측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의 편의를 위해 적합하다.The handle 120 is for holding by the user and may be connected to or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outer tray 100, and the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Preferably, it is suitable for ease of use to be located 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outer tray 100.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 : 220)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과 동일하거 유사한 형상을 가져서, 상기 내부공간(110)에 삽입되는 것이다. The inner tray 2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11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0 of the outer tray 100 is formed of a soft plate material,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enetrate the surface It has a hole (hloe: 220). That is, the inner tray 200 has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inner space 110 of the outer tray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0.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 역시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210)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210)에 인상재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면(230)과 상기 바닥면(230)으로부터 연장되어 U자형 단면으로 돌출되는 측면(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ner tray 200 may also have an inner space 210 made of a U-shaped cross s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bottom surface 230 for receiving the impression material in the inner space 210 It may be formed of a side surface 240 extending and protruding into a U-shaped cross section.
이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인상재가 바닥면(230)에 형성된 홀(220)으로만 빠져 나가도록 하여 상기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홀(220)이 없는 판재형 또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allows the impression material to exit only through the hole 220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230, so that the amount of the impression material penetrates the hole 220. In order to minimize the hole 220 may be made of a plate type or a flat plate type.
그리고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내부공간(210)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내부공간(110) 보다 작은 크기 또는 용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inner space 210 formed inside the inner tray 200 preferably has a smaller size or volume than the first inner space 110 formed inside the outer tray 100.
이러한 내부 트레이(200)는 종래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220)을 가지는 홀(hole) 형 트레이일 수 있으며, 그것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회(또는 2~3회의 소수) 사용으로 족하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한 연질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에서도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inner tray 200 may be a hole-type tray having a hole 220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enetrate conventionally, and its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ed once (or two or three times a few).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because it should be able to easily separate from the outer tray 100, more preferably made of a high molecular compound.
예를 들어,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올레핀계 수지(PE, PP), 아크릴 수지(PMMA), 실리콘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인상재가 통과할 수 있는 홀(220)을 가지고 있어서, 인상재와의 접촉 면적이 보다 확장되고, 인상재가 상기 홀(220) 사이에 끼어져서 마찰력이나 구속력을 부여함으로서, 인상재를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tray 200 may use an olefin resin (PE, PP), an acrylic resin (PMMA), a silicone resin, or the like. The inner tray 200 has a hole 220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ass,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is further expanded, and the impression material is sandwiched between the holes 220 to impart friction or restraining force, thereby providing an impression material. It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inner tray 200.
이러한 본 발명은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220)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200)를 통하여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이와 함께 평판형 경질 판재로 이루어진 외부 트레이(100)를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bonding force for attach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rough the inner tray 200 having a hole 220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enetrate the surface, and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through the outer tray 100 made of a flat hard plate.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flow out of the outside.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수용되는 인상재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에 형성된 홀(220)에 유입되어, 상기 홀(220)의 내부면과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130) 및/또는 측부(140) 표면에 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로 유출되지도 않는다.That is,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inner tray 200 flows into the hole 220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as shown in FIG. I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220 and the surface of the bottom 130 and / or side 140 of the outer tray 100 is firmly coupled and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이를 위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내부공간(210)에 대응되는 바닥면(230)과 측면(240)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은 0.5mm~5.0mm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인상재가 접촉하는 홀(220)의 내부면적이 작아져서 결합력이 약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결합력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기 때문이다.To this end, the inner tray 200 has a bottom surface 230 and the side surface 240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210,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side surface 240 is 0.5mm ~ 5.0 It is preferred to have a thickness within the mm range. If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the side surface 240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because the inner area of the hole 220 is in contact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is small, the bonding force is weakened, even if the above range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bonding force to be.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밀착되는 외 측면(24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외측 표면이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내면에 접촉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제2 내부공간(210)을 보다 더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측부(140)에 의해 인상재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더욱 정확한 치아 인상 획득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ner tray 200 preferably has an outer side surface 240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110 of the outer tray 100. That is,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the second inner space 210 of the inner tray 20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r than, to minimize the amount of the impression material penetrating the hole 220,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accurate tooth impression by pressing the impression material to the inside by the side portion 140.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200)를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및/또는 그것의 내부공간(11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화학약품을 이용하거나 물리적으로 힘들게 트레이로부터 인상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ray 20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110 of the outer tray 100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outer tray 100 and / or its inner space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place and use only the inner tray 200, and thus there is no need to use the chemical or physically difficult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from the tray as conventional.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인상재가 부착되지 않는 표면층을 가지고,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인상재가 부착되는 표면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상재가 부착되지 않거나 부착된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인상재와의 결합력이 낮거나 높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외부 트레이(100)는 내부 트레이(200)보다 인상재와의 결합력이 낮은 표면층을 갖는 것(또는 내부 트레이(200)는 외부 트레이(100)보다 인상재와의 결합력이 높은 표면층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outer tray 100 preferably has a surface layer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attached, and the inner tray 200 preferably has a surface layer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attached. Here, although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attached or attached, it may mean that the bonding forc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is low or high, but the outer tray 100 has a surface layer having a lower bonding forc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than the inner tray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or inner tray 200 has a surface layer having a higher bonding forc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than the outer tray 100).
이러한 표면층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및/또는 내부 트레이(200) 자체의 성질일 수도 있고, 이를 위한 별도의 표면개질이나 추가적인 코팅층 형성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표면층은 거칠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표면층은 매끄럽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인상재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더욱 높은 결합력을 가지면서,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This surface layer may be a property of the outer tray 100 and / or the inner tray 200 itself, and may be achieved by a separate surface modification or additional coating layer formation therefor. For example, the surface layer of the inner tray 200 may be roughened, and the surface layer of the outer tray 100 may be smoothed. Thus,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tray 100 while having a higher coupling force to the inner tray 2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돌기(221) 및 홈(222)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rotrusion 221 and the groove 222 formed in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 중 하나 이상에 인상재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기(221) 또는 홈(222)을 갖는 것이다.As shown herein,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jection 221 or groove 222 for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of the impression material 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은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구조물로서, 그 크기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은 표면개질 방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구조물을 부착시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otrusion 221 or the groove 222 is a microstructu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the side surface 240, the size of the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rotrusion 221 or the groove 222 may be formed by a surface modification method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structure.
특별히,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은 상기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돌기(221)는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위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커지는 것이고, 상기 홈(222)은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의 아래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otrusion 221 or the groove 222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the side surface 240. That is, the projection 221 is a cross-sectional diameter is larger toward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side surface 240, the groove 222 is below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side 240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decreases gradually.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돌기(221) 또는 홈(222)의 상단은 인상재에 걸림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내부 트레이(200)에서 인상재가 쉽게 빠져 나갈 수 없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221 or the groove 222 acts as a locking jaw to the impression material, the impression material can not be easily escaped from the inner tray 200.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에 형성된 제1 둔턱(150)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제1 시밍부(25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irst barrier 150 formed in the outer tray 100 and the first seaming unit 250 formed in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그것의 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상기 측부(140)는 그것의 상단에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상단을 위에서 지지하도록 안쪽으로 돌출된 제1 둔턱(150)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이다. As shown here,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portion 130 and a side portion 140 forming an inner space 110 thereof, and the side portion 140 has a top portion thereof. It may have a first barrier 150 protruding inward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inner tray 200 from above.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has a shape protruding inward.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둔턱(150) 아래로 내부 트레이(200) 또는 그것의 측면(240)을 밀어 넣어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트레이(200) 또는 그것의 측면(240)을 가압 지지하여 내부 트레이(200)가 외부 트레이(100)로부터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not only the inner tray 200 or its side 240 may be pushed under the first barrier 150 to be easily coupled, but also the inner tray 200 or its side 240. By supporting the pressure, the inner tray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outer tray 100.
이 경우,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그것의 내부공간(210)에 대응되는 바닥면(230)과 측면(240)을 가지고, 상기 측면(240)은 그것의 상단이 상기 제1 둔턱(150)에 걸리도록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시밍부(seaming portion, 25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가 내측 및 아래측으로 굽어져서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갖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둔턱(150) 아래로 내부 트레이(200) 또는 그것의 측면(140)을 더욱 용이하게 밀어 넣어서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tray 200 has a bottom surface 230 and a side surface 240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210 thereof, and the side surface 240 has the upper end thereof with the first barrier 150. It is preferable to have a first seaming portion 250 formed to be bent inwardly so as to be secure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is curved to have an inner side and a lower side to form a curved surface. In this case, the inner tray 200 or the side 140 thereof can be more easily pushed under the first barrier 150 to be simply combined.
더욱이,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둔턱(150) 및/또는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시밍부(250)에 의하면, 인상재가 상기 내부공간(210)의 상단 밖으로 넘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first barrier 150 protruding inward and / or the first seaming part 250 formed inwardly as described above, the impression material may be prevented from spilling out of the upper end of the inner space 210. It may have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내부 트레이의 탄성을 이용하여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홈이나 언더컷(undercut)에 걸리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take advantage of the elasticity of the inner tray to catch the groove or undercut formed in the outer tray.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 상단에 형성된 차단부(251)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blocking portion 25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에 안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 차단부(25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차단부(251)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here is that the blocking portion 251 formed by protruding inwar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240 of the inner tray 200 is provided. The shape or size of the blocking portion 25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차단부(251)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인상재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blocking part 251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ide 240 of the inner tray 200,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exist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ray 200 does not easily leak to the outside. Have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 및 결합시키는 체결수단(4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astening means 400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상기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별도의 체결수단(400)을 갖는 것이다.As shown here,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eparate fastening means 400 which can separate and couple the inner tray 200 to the inner space 110 of the outer tray 100.
상기 체결수단(400)은 외부 트레이(100) 및/또는 내부 트레이(200)에 각각 결합되어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 및/또는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체결수단(40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수단(400)은 슬라이드 방식, 고리 체결 방식, 또는 클립 체결 방식을 이용하는 결합 구조물이거나, 키 앤 키웨이 형태 또는 똑딱이 단추와 같은 형태를 갖는 구조물인 것도 가능하다.The fastening means 400 is coupled to the outer tray 100 and / or the inner tray 200, respectively, and separates and / or combines the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Such fastening means 4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ny of a variety of form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fastening means 400 may be a coupling structure using a slide method, a loop fastening method, or a clip fastening method, or may be a structure having a shape such as a key and keyway shape or a butt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하여 외부 트레이(10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400)에 의하면 그것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더욱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체결수단(400)이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 상단에 걸쳐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내부 트레이(200)를 눌러서 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내부공간(210)의 위쪽 방향으로 내부 트레이(200)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앞쪽 방향으로 내부 트레이(200)를 밀어내어서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ray 200 may be inserted into, coupled and separated into the outer tray 100 by its own elastic forc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plastic, b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400,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bonding force,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 more easily. In particular, when the fastening means 400 is located across the top of the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the user can easily couple the inner tray 200 by pressing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210.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by lifting the inner tray 200 in the direction or by pushing the inner tray 200 in the forward direction.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 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과 내부 트레이(200)의 외면에 접촉하는 1개 이상의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를 이격시켜서, 그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 및/또는 측벽의 내면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내부 트레이(200)의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가 상기 갭에 유입되어 부착됨으로서,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내부 트레이(2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ap maintaining part 300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That is, by the one or more structure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ray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ray 200, the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a gap therebetween. will be. At least one gap maintaining part 300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bottom part and / or a side wall of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is, the impression material penetrating the hole 220 of the inner tray 200 is attached to the gap,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다만, 상기 갭의 크기 또는 용적이 너무 크거나, 인상재가 접촉하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 면적이 너무 큰 경우에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에 부착된 인상재를 힘들게 떼어내야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부(300)가 접촉되는 외부 트레이(100)의 내면 면적은 그렇지 않은(상기 간격유지부(300)가 접촉되지 않는)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size or volume of the gap is too large or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outer tray 100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in contact is too larg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impression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ray 100 hardly. There may b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outer tray 100 to which the gap maintaining part 300 is in contact is smaller than the area that is not (the gap keeping part 300 is not in contact).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 트레이(200) 바닥면(230)에 형성된 돌출부(280)와 외부 트레이(100) 바닥부(130)에 형성된 돌출부관통부(18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돌출부(280)에 결합되는 체결클립(41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가 결합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10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protrusion 28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and the protrusion through-hole 180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30 of the outer tray 100 as the tray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astening clip 410 coupled to the protrusion 280 of FIG. 10, and FIG. 12 is an inner tray 200 and an outer tray 100 of FIG. 10 coupled thereto. It is a rear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tate.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240)과 바닥면(2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80)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돌출부(280)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180)를 가지며, 본 발명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돌출관통부(180)를 관통한 돌출부(280)에 결합되는 체결클립(41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As shown here,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280 protruding outward on any one or more of the side surface 240 and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soft plate, the outer tray ( 100 has a protrud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280 penetrates (180),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ner tray 200 and the outer tray 100 as the protruding through portion (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clip 41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280 through the 180.
상기 돌출부(28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및/또는 바닥면(230)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원통형 또는 막대형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의 결합을 위해서는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e or more protrusions 28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240 and / or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and the size or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 cylindrical or rod-shaped structure.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for the coupling thereof.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는 외부 트레이(100)의 일면에 형성된 구멍이나 홀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28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280)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protruding portion 180 may be a hole or a hole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outer tray 100,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280, and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rotruding portion 280.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그래서 상기 돌출부(280)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하여, 그것의 일부가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노출된 돌출부(280)에 체결클립(410)이 결합되면,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외부 트레이(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us, the protrusion 280 may penetrate the protrusion penetrating unit 180, and a part of the protrusion 280 may be exposed out of the outer tray 100. When the fastening clip 410 is coupled to the exposed protrusion 280, the inner tray 20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outer tray 100.
상기 체결클립(410)은 상기 돌출부(280)에 결합되거나 그것을 지지하여 다시 돌출부관통부(180)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클립(410)의 종류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벌어진 것은 상기 돌출부(280) 둘레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꺾어진 상단부를 갖는 것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 fastening clip 410 may be coupled to or support the protrusion 280 so as not to escape to the protrusion through-hole 180 again. The type or shape of the fastening clip 4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shown in FIG. 11, openings 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clip 410 may be easily coupled around the protrusion 280. It can be held by hand and easily combined.
나아가, 상기 돌출부(280)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형상 둘레에는 상기 체결클립(410)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은 돌출부(280) 중간이나 하단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넥(neck)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체결클립(410)을 돌출부(280)에 결합시키기 용이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28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groove to which the fastening clip 410 is coupled is formed around the cylindrical shape. The groove may be a protrusion neck formed around the middle or bottom of the protrusion 280, and in this case, the fastening clip 410 may be easily coupled to the protrusion 280.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내부체결구멍(290)과 외부체결구멍(190) 및 이를 관통하는 체결봉(4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ner fastening hole 290 and the outer fastening hole 190 and a fastening rod 420 penetrating the tray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내부 트레이(200)가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내부체결구멍(290)을 하나 이상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체결구멍(290)에 대응하는 외부체결구멍(190)을 가지며, 체결수단으로서 상기 내부체결구멍(290)과 외부체결구멍(190)을 관통하는 체결봉(42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here is that the inner tray 200 has at least one inner fastening hole 290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 of the soft plate, the outer tray 100 is the inner fastening The fastening rod 190 has an outer fastening hole 190 corresponding to the hole 290, and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rod 420 passing through the inner fastening hole 290 and the outer fastening hole 190 as fastening means.
상기 내부체결구멍(290)과 외부체결구멍(190)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것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게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and shape of the inner fastening hole 290 and the outer fastening hole 19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ir positions are preferab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체결봉(420)은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는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의 두께 합보다 작거나, 그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긴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체결봉(420)의 일단에는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fastening rod 420 preferably has a diameter that is similar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fastening hole 290 and the outer fastening hole 190, and the length of the fastening rod 42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ner fastening hole 290 and the outer fastening hole 190. Less than, similar to, or lon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is suitable. In addition, a hea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fastening hole 290 and the outer fastening hole 19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rod 420.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체결봉(420)을 상기 내부체결구멍(290) 및 외부체결구멍(190)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도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ray 200 and the outer tray 100 can be easily coupled simply by inserting the fastening rods 420 into the inner fastening holes 290 and the outer fastening holes 190. It has an effect.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돌출헤드(282)와 돌출헤드관통부(181) 및 돌출헤드결합부(182)의 일례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1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truding head 282, the protruding head penetrating portion 181, and the protruding head engaging portion 182 as the tray enga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80)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돌출부(280)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180)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280 protruding outwar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ft plate, the outer tray 100 is the protrusion 280 It has a projection portion 180 through which it can pass.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돌출부(280)가 끝단에 돌출헤드(282)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는 상기 돌출헤드(282)가 관통하는 돌출헤드관통부(181)와, 상기 돌출헤드관통부(181)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돌출헤드관통부(18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돌출헤드결합부(182)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Here,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otrusion 280 has a protruding head 282 at the end, the protruding portion 180 is a protruding head through 181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head 282 and, The protrusion head coupling portion 181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head coupling portion 181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protrusion head coupling portion 18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즉, 상기 돌출부(280)는 몸체(또는 바디)와 그것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보다 큰 부피 또는 직경을 갖는 돌출헤드(28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는 상기 돌출헤드(282)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헤드관통부(181) 및 상기 돌출헤드(282)의 부피 또는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돌출부(280)의 몸체보다는 큰 개구부로 이루어진 돌출헤드결합부(182)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protrusion 280 is composed of a body (or body) and the protrusion head 282 having a larger volume or diameter than the body at its end. In addition, the protrusion through portion 180 is smaller than the volume or diameter of the protrusion head through portion 181 and the protrusion head 282 of the size similar to or smaller than the protrusion head 282 and the body of the protrusion 280 Rather than the protrusion head engaging portion 182 consisting of a large opening.
그래서 상기 돌출헤드(282)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1)를 통과할 수는 있지만 상기 돌출헤드결합부(182)를 통과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돌출부(280)의 몸체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1) 뿐만 아니라 돌출헤드결합부(182)도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돌출헤드(282)를 상기 돌출부관통부(181)를 통과시킨 후 상기 돌출헤드결합부(18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280)는 그것의 몸체가 상기 돌출헤드결합부(182)와 결합되게 되고, 상기 돌출헤드(282)에 의해 상기 돌출부(280)는 돌출부관통부(180)에 고정되게 된다.Thus, the protruding head 282 may pass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181 but may not pass through the protruding head coupling portion 182. In addition, the body of the protrusion 280 may pass not only the protrusion through portion 181 but also the protrusion head coupling portion 182. Through this, if the protrusion head 282 is passed through the protrusion through portion 181 and then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head coupling portion 182, the protrusion 280 is the body of the protrusion head coupling portion ( 182, and the protrusion 280 is fixed to the protrusion through portion 180 by the protrusion head 282.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볼록부(283)와 오목부(183)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vex portion 283 and the concave portion 183 as the tray enga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가 연질 판재의 측면(240)과 바닥면(2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반구형 형상의 볼록부(283)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볼록부(283)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183)를 내면에 가지는 것이다.As shown he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ner tray 200 is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283 protruding to the outside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surface 240 and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soft plate material. ), The outer tray 100 has a concave portion 183 in which the convex portion 283 can be accommodated.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및/또는 바닥면(230)에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283)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및/또는 바닥부(130)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 방향으로 오목부(18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vex portion 283 protruding toward the outer tray 10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240 and / or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and the outer tray 100 corresponding thereto. The side portion 140 and / or the bottom portion 130 of the bottom side is formed with a recess 183 in the inner tray 200 direction.
상기 볼록부(283)와 오목부(183)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itions of the convex portion 283 and the concave portion 183 preferably correspond to each other.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를 외부 트레이(100)의 내부공간(110)에 밀어 넣으면, 상기 볼록부(283)가 오목부(183)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는 서로 결합 가능하다.Thus, when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into the inner space 110 of the outer tray 100, the convex portion 283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83, the inner tray 200 And the outer tray 100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결합수단으로서 이격부(284)와 걸림턱(285)을 가지는 돌출부(280)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trusion 280 having a spaced portion 284 and a locking step 285 as the tray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80)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돌출부(280)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180)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280 protruding outwar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ft plate, the outer tray 100 is the protrusion 280 It has a projection portion 180 through which it can pass.
그리고, 상기 돌출부(280)는 끝단에 형성된 돌출헤드(282)와, 상기 돌출헤드(282)로부터 상기 돌출부(280) 내부에 형성된 이격부(284)와, 상기 돌출헤드(282)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 외면에 지지되는 걸림부(285)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rusion 28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head 282 formed at the end, the separation part 284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280 from the protrusion head 282, and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head 282.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rtion 285 penetrates the protruding portion 180 and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ray 100.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헤드(282)는 돌출부(280) 몸체의 끝단에 형성된 것으로 삼각형이나 반구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할 수 없는 부피나 크기 또는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protruding head 28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of the protruding portion 280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a triangle, a hemispherical shape or a circular shape, and basically a volume that cannot penetrate the protruding portion 180. It is desirable to have a size or diameter.
또한, 상기 돌출부(28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돌출부(280)의 몸체는 2개 이상으로 나누어지거나 서로 떨어진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격부(284)는 상기 돌출부(280)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거나 상기 2개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이격부(284)는 상기 돌출헤드(282)의 외측이나 바깥쪽 끝단으로부터 돌출부(280) 하단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280 may have an empty space therein, and the body of the protrusion 280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structure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pacer 284 may be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280 or a spaced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structures. The spacer 284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er or outer end of the protrusion head 282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280.
그래서, 상기 돌출부(280) 또는 그것의 몸체는 외부로부터 가압된 힘에 의해 상기 이격부(284)가 움츠러들거나 축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돌출헤드(282)는 비로소 상기 돌출부관통부(180)를 관통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이격부(284)가 커지거나 늘어나면서 상기 돌출헤드(282)는 걸림부(285)를 통하여 상기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외면(또는 바닥부(130))에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Thus, the protrusion 280 or its body may be shrunk or reduced by the force of the pressurized force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protrusion head 282 is not the protrusion through portion 180 Can penetrate through Then, as the spaced portion 284 increases or extends, the protruding head 282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r bottom portion 130) of the outer tray 100 through the locking portion 285. It is possible.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에 형성된 분리관통구(16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eparation through hole 160 formed in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상기 측부(140) 상단에는 상기 삽입된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를 밀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분리관통구(160)가 형성된 것이다.As shown here,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portion 130 and the side portion 140 to form the inner space 110, the upper side of the side 140, the inserted inside Separation through-hole 160 that can be lifted by pushing the side 240 of the tray 200 is formed.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에는 구멍 또는 홀로 이루어진 분리관통구(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고, 사용자는 상기 분리관통구(160)에 송곳과 같은 가압수단을 넣어서 그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을 밀어서 들어올림으로서, 상기 외부 트레이(100)로부터 내부 트레이(2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pper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ng through-hole 160 formed of a hole or a hole is formed, the user put a pressing means such as an awl in the separating through-hole 160 By pushing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positioned therein, the inner tray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tray 100.
이를 위하여, 상기 분리관통구(16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서 인상재가 관통하는 홀(2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평한 부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separation through hole 16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a flat portion in which the hole 220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penetrates from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is not formed.
또한, 상기 분리관통구(160)는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을 더욱 많이 휘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리관통구(160)가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하단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에 의한 지지력 때문에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을 밀어내는 정도가 약해서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through hole 16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because it can bend the side 240 of the inner tray 200 more. That is, when the separation passage 16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tray 200 because of the support force by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The degree of pushing the 240 is weak and not preferable.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상단굴곡부(26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upper bent portion 260 formed in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외부트레이(100)의 측부(140)와 상단을 감싸는 상단굴곡부(26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단굴곡부(26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그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 또는 상면을 덮는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As shown here,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top portion 260 surrounding the side 140 and the top of the outer tray 100. That is, the upper curved portion 260 may be a structure extending from o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to cover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ide 140 of the outer tray 100.
상기 상단굴곡부(260)는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굴곡지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단굴곡부(260)는 외부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 또는 상면에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bent part 260 may protrude outwardly or bent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In addition, the upper curved portion 260 may be coupled to and / or separated from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이러한 상단굴곡부(260)에 의하면, 내부 트레이(200)를 외부 트레이(100) 내부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또는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상재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인상재가 상기 상단굴곡부(260)를 타고 넘어가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상단굴곡부(260)가 없으면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넘치는 경우 방사형으로 퍼지기 때문에 트레이 밖으로 인상재가 너덜너덜하게 굳어버리는 단점이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상단굴곡부(260)에 의하면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넘치더라도 인상재가 상기 상단굴곡부(260) 표면에 밀착되어 둥글게 퍼지기 때문에 인상재가 트레이 밖으로 뻗어 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upper bent portion 260, not only can the inner tray 200 be easily and easily coupled and / or detached into the outer tray 100, but the impression material is the upper bent portion even when the amount of the impression material is large. 260 is preferred because it can be crossed over. That is, without the upper bent portion 260, if the impression material overflows out of the tray, the radial material spreads out of the tray,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tatters out of the tray, but according to the upper bend 260 as described above, the impression material overflows out of the tray. Even if the impression materia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upper bent portion 260 to spread round,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minimized to extend out of the tr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공간(110)에 대응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가 만나는 내측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가 교차하는 부분이 내측이나 외측으로 또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곡면 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구조물이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가 교차하는 부분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바닥부(130)와 측벽(140)가 교차하는 부분에 골(valley)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바닥부(130)와 측부(14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110)에 삽입된 내부 트레이(200)를 분리시키기가 더욱 용이하다.In addition,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portion 130 and a side portion 140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110, the inner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130 and the side portion 140 meets It is preferable to have a curved shap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130 and the side portion 140 intersect is formed inward or outward or convex or concave. To this end, a separate structure having a curved 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130 and the side portion 140 cross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lley is not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130 and the side wall 140 intersect, and thus, in the inner space 110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130 and the side portion 140. It is easier to separate the inserted inner tray 200.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트레이(100)에 형성된 제2 둔턱(170)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제2 시밍부(27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econd barrier 170 formed in the outer tray 100 and the second seaming portion 270 formed in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가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둔턱(170)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부(140) 상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 둔턱(170)의 위 및/또는 아래로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이나 상단굴곡부(26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here is that the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has a second barrier 17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top.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140 of the outer tray 100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240 or the upper bent portion 260 of the inner tray 200 can be easily coupled above and / or below the second barrier 170, and the inner tray 200 and the outer tray can be easily coupled.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of (100).
이 경우,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상단굴곡부(260)는 상기 제2 둔턱(170)에 걸리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시밍부(27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상단부가 외측 및 아래측으로 굽어져서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를 갖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이나 상단굴곡부(260)를 상기 제2 둔턱(17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내부 트레이(200)와 외부 트레이(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인상재가 상기 제2 시밍부(270)를 타고 넘어가게 할 수도 있어서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upper bent portion 260 of the inner tray 200 preferably has a second seaming portion 270 that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outside to the second barrier 17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is curved to have a curved surface that is bent outward and downward.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240 or the upper bent portion 260 of the inner tray 20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econd barrier 170,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nner tray 200 and the outer tray 100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and the impression material may be allowed to ride over the second seaming portion 270 is preferable.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130)에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하는 개구부(121)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에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하는 임플란트핀관통부(231)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개구부(121) 및 임플란트핀관통부(231)로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n opening 121 through which an implant pin 500 penetrates is formed at a bottom portion 130 of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n inn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n implant pin penetrating portion 231 through which the implant pin 500 penetrate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30 of FIG. 200, and FIG. 22 is an opening 121 and an implant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use state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tate which the implant pin 500 penetrates into the pin penetrating part 231. As shown in FIG.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임플란트를 가진 환자용으로 사용되는 트레이이다. 본 명세서에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핀'은 일반적인 임플란트이거나 임플란트를 설치, 유지, 보수 또는 제거시에 사용되는 가이드 핀(guide pin)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트레이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에 임플란트나 임플란트핀이 관통할 수 있어야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herein is a tray for use with a patient having an implant. As used herein, the term 'implant' and 'implant pin' includes generic guides or guide pins used when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moving an implant. If a tray is to be used for a patient with such an implant, the tray or implant pin should be able to penetrate the tra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부(130)와 측부(140)를 가지고, 특별히 상기 바닥부(130)는 임플란트핀(500)이 관통되는 개구부(12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a bottom portion 130 and a side portion 140 forming the first inner space 110, in particular the bottom portion 130 is an implant pin ( It is preferred to have an opening 121 through which 500 is passed.
상기 개구부(121)는 외부 트레이(100)의 바닥부(130) 일부에 형성된 비교적 큰 구멍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121)가 상기 외부 트레이(100)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임플란트핀(500)는 상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외부 트레이(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opening 121 is a relatively large hole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130 of the outer tray 100,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e implant pin 500 can penetrate Preferably, the opening 121 is formed in the outer tray 100 in advance. Then, the implant pin 50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tray 100 through the opening 121.
이와 함께,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를 이용할 때 비로소 상기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임플란트관통부(231)를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임의적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tray 200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e user may not be able to penetrate the implant pin 231 through which the implant pin 500 may penetrate the inner tray 200 when using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ormed arbitrarily.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도 상기 임플란트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임플란트관통부(231)가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n implant penetrating portion 231 through which the implant pin 500 may pass may be formed in the inner tray 200 in advance.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 외부에는 위치인식부(22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25 참조). 상기 위치인식부(225)는 특정한 모양, 기호, 문자, 숫자 등과 같은 표식자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트레이(200)를 뒤집어서 치아에 올려놓더라도,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위치인식부(225)를 통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200) 상에서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있는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존재하는 위치에 구멍을 뚫어서 제거함으로서, 상기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를 더욱 정확하고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osition recognition unit 225 may be formed outside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see FIG. 25).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225 may be a marker such as a specific shape, symbol, letter, number, etc.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implant pin 500 or teeth. For example, even if the inner tray 200 is turned upside down on the tooth, the user can easily position the implant pin 500 or the tooth on the inner tray 200 through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225 as described above. I can know exactly. Through this, the user can remove the implant pin 500 or teeth by drilling a hole in the position where the teeth are present, and more accurately and easily expose the implant pin 500 or teeth.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일자형 돌기(221)가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straight protrusion 221 is formed inside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경질 또는 연질 판재로 이루어진 종래의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판재 표면에 인상재를 더욱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한 돌기(221)나 홈이 형성된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in the conventional tray made of a hard or soft plate, the projections 221 or grooves for bonding the impression material more firmly to the plate surface is formed.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또는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트레이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트레이는 종래와 같은 단일형 트레이일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복합형인 것도 가능하다. 단일형 트레이인 경우에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일회용 트레이일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basically formed as a hard or soft plate having an inner space consisting of a U-shaped cross section, as described above for a tray having a handle for the user's grip. Such a tray may be a single tray as in the prior art, or may be a complex type including an inner tray and an outer tray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single tray, it may be a disposable tray made of a soft material.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일면으로서 바닥면(230)이나 측면(240) 또는 바닥부(130)나 측부(14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돌기(221)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221) 또는 홈은 상기 일면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otrusion 221 or the groove for attaching the impression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30 or the side surface 240 or the bottom portion 130 or the side portion 140 as one surface forming the inner space. Can be. In addition, the protrusion 221 or the groove preferably has a larg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one surface.
그리고, 상기 돌기(221) 또는 홈은 기다란 막대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닥면(230)과 측면(240)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내부에 인상재를 넣고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여 본을 채득할 때, 상기 돌기(221)는 상기 인상재를 고르게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상재는 상기 트레이 내부에서 한쪽으로 몰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치아의 인상을 더욱 고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trusion 221 or the groove may have an elongated ro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side surface 240. In this case,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erted into the mouth of the patient to obtain a bone, the protrusion 221 may pressurize the impression material evenly,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tray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obtain evenly and accurately the impression of the teeth, without being driven.
특별히,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221)는 기본적으로 상기 측면(240)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안쪽 타단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돌기(221)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수개의 돌기(221) 중 일부는 측면(240)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안쪽 타단까지(예를 들어, 측면(240)과 바닥면(230)이 만나는 부분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돌기(221) 중 일부는 측면(240)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상기 측면(240)의 중간부위까지만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측면(240)에는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1 are basically form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from the outer end of the side surface 240,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1 are formed to the inner other e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not. 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1 are formed long from the outer one end of the side surface 240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side (for example, to a portion where the side surface 240 and the bottom surface 230 meet), Som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1 is formed only short from the outer end of the side surface 240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240. Then, an empty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221 is not formed is present at the side surface 240.
상기 빈 공간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돌기공백부(223)이거나 또는 구멍이나 홀로 이루어진 돌기공백홈(224)인 것도 가능하며, 상기 돌기공백부(223) 및 돌기공백홈(224)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공백홈(224)은 측면(240)이나 바닥면(230) 또는 측면(240)과 바닥면(230)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상재는 상기 돌기공백부(223)에 지지되거나 상기 돌기공백홈(224)을 통하여 밖으로 유출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트레이 일면에 더욱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를 제작하는 사출 과정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empty space may be a protruding blank 223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protrusion or a protruding blank groove 224 formed of a hole or a hole, and includes the protruding blank 223 and the protruding blank groove 224 together. You may. The protrusion blank groove 224 may be formed at a side surface 240 or a bottom surface 230 or a portion where the side surface 240 and the bottom surface 230 meet. According to this, the impression material may be supported by the protruding blank portion 223 or may flow out through the protruding blank groove 224, and thus may be more strong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ray. In addition, the injec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facilitated.
또한, 상기 트레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인상재 중 상기 돌기공백부(223) 및/또는 돌기공백홈(224)에 존재하는 인상재는 상기 짧게 형성된 돌기(221)의 끝단에 걸리기 때문에, 치아의 본을 채득 후 트레이를 구강 내에서 제거할 때에도, 인상재는 트레이 내부에서 변형 없이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공백부(223) 및/또는 돌기공백홈(224)은 인위적인 언더컷 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ression material present in the projection blank portion 223 and / or the projection blank groove 224 of the impression material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ray is caught by the end of the shortly formed projection 221, so that the impression of the tooth Even when the tray is removed in the oral cavity after the filling, the impression material can remain in place without deformation inside the tray. That is, the protruding blank portion 223 and / or the protruding blank groove 224 may have an artificial undercut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바닥면(230) 및/또는 측면(240) 등에는 위치인식부(22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25 참조). 상기 위치인식부(225)는 특정한 모양, 기호, 문자, 숫자 등과 같은 표식자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를 뒤집어서 치아에 올려놓더라도,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위치인식부(225)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 상에서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있는 위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가 존재하는 위치에 구멍을 뚫어서 제거함으로서 상기 임플란트핀(500)이나 치아를 더욱 정확하고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22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30 and / or side surface 240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25).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225 may be a marker such as a specific shape, symbol, letter, number, etc.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implant pin 500 or teeth. For example, even if the tray is turned upside down on the tooth,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know the position of the implant pin 500 or the tooth on the tray through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225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and easily expose the implant pin 500 or teeth by removing the implant pin 500 or by removing a hole in the position where the tooth exists.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에 형성된 파지부(241)와 외부 트레이에 형성된 안착홈(141)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형성된 단턱부(242)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6의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과 바닥면(230)에 형성된 홀(22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olding part 241 formed in the inner tray 200 and a seating groove 141 formed in the outer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an inner tray 200 of FIG.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tepped portion 242 formed in the side surface 240 of FIG. 26, and FIG. 2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hole 220 formed in the side surface 240 and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of FIG. 26.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트레이(200)는 연질 판재의 측면(240)에 외부로 돌출 형성된 파지부(241)를 가지는 것이다.As shown here, the inner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ip portion 241 protruding to the outside on the side surface 240 of the soft plate.
그리고 상기 파지부(241)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내부에 인상을 채득한 후에 석고 주입시 사용자의 안정적인 파지를 위한 파지 수단으로서,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중에 곡률을 갖는 측면(240) 중앙에서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ping part 241 is a gripping means for stable gripping of a user when gypsum is injected after the impression is taken into the inner tray 200, but the size or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inner tray 200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240 having a curvature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파지부(241)는 사용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 하단부에 돌출하여 횡방향으로 위치된 파지면(241a)과, 상기 파지면(241a)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종방향으로 위치된 지지면(241b)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gripping portion 241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to be gripped by the user's thumb and forefinger, and is positioned transvers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surface 241b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gripping surface 241a and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40 of the inner tray 200.
이때 상기 파지면(241a)은 사각 형상으로 그 폭은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면(241b)은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파지면(241a)이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보강재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엄지와 집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파지면(241a)을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gripping surface 241a is preferably a square shape and the width thereof is the same as the handle 120 of the outer tray 100, and the support surface 241b has a right triangle shape, the gripping surface 241a. It serves as a reinforcement to be firmly fixed to the side 240 of the inner tray 2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space for the user to grip the gripping surface 241a using a thumb and forefinger. Do.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트레이(100)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에 형성된 상기 파지부(241)를 수용하여 손잡이(12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측벽(140)에 개방 형성된 안착홈(141)을 가진다.In addition, the outer t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to the side wall 140 to accommodate the grip portion 241 formed on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to be seated on the handle 120. It has a seating groove 141.
상기 안착홈(141)은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가 형성된 측부(140)에서 상기 파지부(241)가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방된 공간에는 상기 파지부(2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241)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eating recess 141 may be formed to be ope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 portion 241 at the side portion 140 on which the handle 120 of the outer tray 100 is formed, and the grip portion is located in the open space.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holding portion 241 to accommodate the (241).
그래서 상기 파지부(241)는 상기 안착홈(141)을 통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에 안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241)의 안착면에는 돌출부(2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손잡이(120) 상에는 상기 돌출부(280)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관통부(18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80)와 돌출부관통부(180)는 그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 16에서 도시된 돌출부(28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명세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렇게 안착된 파지부(241)는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손잡이(120)에 결합되면,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외부 트레이(1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us, the gripping portion 241 may be seated or supported by the handle 120 of the outer tray 100 through the mounting groove 141. In this case, a protrusion 28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a seating surface of the grip part 241, and a protrusion through part 18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80 on the handle 120. The protrusion 280 and the protrusion through-hole 18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ize and shape, but the description of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caus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protrusion 280 shown in FIG. That is, the gripper 241 thus seated is coupled to the handle 120 of the outer tray 100, and the inner tray 20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outer tray 100.
아울러,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측벽(140)에 상기 안착홈(141)이 형성됨에 따라 제작 공정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상기 외부 트레이(100)의 외측 하단에 위치시켜 상기 손잡이(120)를 일체로 성형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부 트레이(100) 제작시 상기 손잡이(120)를 따로 붙이는 공정 없이 한번의 공정으로 상기 외부 트레이(100)와 손잡이(120)를 일체로 형성시킴에 따라 제작 비용과 제작 공정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 seating grooves 141 are formed on the sidewalls 140 of the outer tray 100, the handle 120 is integrally located 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outer tray 100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be manufactured by molding. That is, when the external tray 100 is manufactured, the external tray 100 and the handle 120 are integrally formed in a single process without attaching the handle 120 separately,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process. Is there.
또한, 상기 내부 트레이(200)는 상기 파지부(241)가 위치된 안쪽 측면(240)에는 단턱부(242)가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tray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portion 242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240 where the gripping portion 241 is located.
상기 단턱부(242)는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안쪽 측면(240)에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트레이(200) 내부에 충진된 인상재가 걸리도록 하단에 평평한 면의 지지턱(242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ped portion 24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ize or shape, but is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on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filled in the inner tray 200 is caught at a lower end thereof.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upport jaw 242a of the flat surface.
즉, 상기 단턱부(242)는 상기 내부 트레이(100) 내부에 충진된 인상재가 지지턱(242a)에 걸리게 하여 치아의 본을 채득한 후에 내부 트레이(200)를 구강 내에서 제거하여도 인상재는 내부 트레이(200) 내부에서 변형 없이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242)는 인위적인 언더컷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epped portion 242 is the impression material filled in the inner tray 100 is caught on the support jaw (242a) and after taking the bone of the tooth after removing the inner tray 200 in the oral cavity, the impression material is The position may be maintained without deformation in the inner tray 200. Thus, the stepped portion 242 may have an artificial undercut function.
아울러,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과 바닥면(230)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홀(2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220 formed on the side surface 240 and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홀(22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10)에 형성된 홀(220)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형성된 홀(220)은 양단이 반원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le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triangle, a rectangle, and a polygon, but the hole 220 formed on the side surface 210 of the inner tray 20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has a bottom surface. Holes 220 formed in the two ends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curvature.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홀(22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29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hole 220 formed in the net form on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홀(220)이 그물망 형태로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의 면적보다 보다 넓게 형성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220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and the bottom surface 230 of the inner tray 200 in a net form. ) And is formed wider than the area of the side 240.
이러한 내부 트레이(200)의 바닥면(230)과 측면(240)의 면적보다 보다 넓게 형성된 홀(220)은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hole 220 formed wid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230 and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ize or shape.
상기 홀(220)은 면적이 내부 트레이(200)의 측면(240)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홀(220)을 관통하는 인상재가 마찰력이나 구속력을 더욱 부여하고 상기 내부 트레이(2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정확한 치아 인상 획득이 가능하다. The hole 220 has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side surface 240 of the inner tray 200,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penetrating the hole 220 further provides friction or restraint force and is firmly coupled to the inner tray 200. Therefore, accurate tooth impression can be obtained.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는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2a의 것을 상악트레이(1100)라 하고, 도 32b의 것을 하악트레이(1200)라 하고 있지만, 역할을 바꾸어 그 반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32 to 3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2 to 34,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pper jaw tray 1100 and the lower jaw tray 1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tray 1100 in FIG. 32A is referred to as the lower tray 1200 in FIG. 32B, but the roles may be reversed.
상악트레이(1100)는 복수개의 관통공(1130)이 형성된 기저판(1110, base plate)의 윗면에 치아테두리(1120)가 돌출 형성되고, 기저판(1110)의 아랫면에는 입구 테두리가 관통공(1130)을 둘러싼 형태로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가 돌출 형성된다. The upper tray 1100 has a tooth border 1120 protrud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0 (base plate) on whic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30 are formed, and an inlet edg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0.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140 is formed to surround the protrusion.
치아테두리(1120)는 치아 앞쪽 테두리(1121)와 치아 뒤쪽 테두리(1122)로 구분되는데, 상황에 따라서 치아 뒤쪽 테두리(1122)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치아 앞쪽 테두리(1121)는 기저판(1110)의 앞쪽 가장자리에 라운드 형태로 병풍처럼 설치되고, 치아 뒤쪽 테두리(1122)는 기저판(1110)의 뒤쪽 가장자리에 라운드 형태로 병풍처럼 설치된다. 치아 테두리(1120)는 치아의 배열과 같이 커브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ntal rim 1120 is divided into a front edge of the tooth 1121 and a rear edge of the tooth 1122, and the rear edge of the tooth 1122 may not be installed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tooth front edge 1121 is installed like a folding screen at the front edge of the base plate 1110, and the tooth rear edge 1122 is installed like a folding screen at the rear edge of the base plate 1110. The dental rim 1120 is preferably curved like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치아테두리(1120)는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물때에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가 제위치에 물리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도 할 뿐만 아니라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에 채워지는 인상재가 옆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벽 역할도 한다. The dental rim 1120 serves as a guide for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to be snapped into place when the bite bites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nd the impression material filled in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may be used. It also acts as a barrier to prevent side flow.
손잡이(1160)는 기저판(112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기저판(1110)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치아 앞쪽 테두리(1121)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경우가 도시되었다. The handle 1160 is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base plate 1122, and may extend from the base plate 1110 or extend from the front edge of the tooth 112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mer case is shown.
하악트레이(1200)도 상악트레이(110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관통공(1230)이 형성된 기저판(1210)의 윗면에 치아테두리(1220)가 돌출 형성되고, 기저판(1210)의 아랫면에는 입구 테두리가 관통공(1230)을 둘러싼 형태로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가 돌출 형성된다. 하악트레이(1200)의 치아테두리(1220)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아 앞쪽 테두리(1221)와 치아 뒤쪽 테두리(1222)로 구분되며, 치아 뒤쪽 테두리(1222)는 상황에 따라서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손잡이(1260)도 상악트레이(1100)와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Similar to the upper tray 1100, the lower jaw tray 1200 also has a tooth border 122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30 formed therein, and an inlet edge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0.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 124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hape surrounding the ball 1230. The tooth border 1220 of the lower jaw tray 1200 is also divided into a front edge 1221 and a rear edge 1222 of the teeth,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ar edge 1222 of the tooth may not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handle 1260 is also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tray 1100.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기저판(1110, 1210)의 아랫면이 서로 등을 지도록 맞대어져 결합된다.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물 때 편하고, 또한 상악과 하악의 인상채득이 동일한 신뢰도로 이루어지도록 두 개의 기저판(1110, 1210)은 동일한 형상을 하여 합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악트레이(1100)가 하악트레이(1200)보다 더 돌출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악트레이(1100)의 기저판(1110)이 앞으로 더 튀어 나올 것이며, 이러한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당연히 포함된다.As shown in FIG. 33,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lower surfaces of the two base plates 1110 and 1210 are supported against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base plates 1110 and 1210 have the same shape and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or is comfortable when bit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nd the upper and lower jaw impressions are obtained with the same reliability. The tray 1100 may protrude further than the lower jaw tray 1200, in which case the base plate 1110 of the upper jaw tray 1100 will protrude further forward, which is natur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악트레이(11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와 하악트레이(12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악트레이(11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끝단은 하악트레이(1200)의 기저판(1240)에서 관통공(1230)이 형성되지 않은 막혀있는 부위에 닿게 되고, 하악트레이(12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 끝단은 상악트레이(1100)의 기저판(1140)에서 관통공(1130)이 형성되지 않은 막혀있는 부위에 닿게 됨으로써,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의 끝단이 모두 기저판(1110, 1210)에 의하여 막혀지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인상재가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에 갇혀 다른 곳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140 of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240 of the lower tray 1200 are preferably dispos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Then, the lower end of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140 of the upper tray 1100 is in contact with the blocked portion that is not formed through holes 1230 in the base plate 1240 of the lower tray 1200, the lower tray 1200 The lower side of the leakage prevention portion 1240 end of the bottom plate 1140 of the upper tray 1100 by contact with the blocked portion that is not formed through-hole 1130, the end of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ortion (1140, 1240) All of these will be in the state blocked by the base plates 1110 and 1210. Then, the impression material is prevented from being trapped in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s 1140 and 1240 and flowing into another place.
치아테두리(1120, 1220)의 안쪽 면에는 세로로 세워진 돌출바(1150, 1250)가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물었다가 놓는 과정에서 인상재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에는 그대로 달라붙어 있고 치아에서만 떨어지도록 붙잡도록 하기 위함이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vertically protruding bars 1150 and 1250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dental rims 1120 and 1220. This is to allow the impression material to stick to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s it is and to fall off only from the teeth in the process of placing and plac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도 35는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상악트레이(11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와 하악트레이(121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는 서로 어긋나면서 인접되게 배치되어 상악트레이(11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의 외측과 하악트레이(12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가 서로 면접(surface contact)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s (1140, 1240). Referring to FIG. 35,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140 of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240 of the lower tray 1210 are dispos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being dispos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1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ide of the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140 and the lower side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1240 of the lower mandrel 1200 are installed to have a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는 결합상태에서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인상채득에 있어 바람직한데, 위와 같이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를 배치하면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가 서로 장애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이 미끄러져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state that does not slide sideways in the coupled state, it is preferable to obtain the impression,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unit (1140, 1240) as described above if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Since the parts 1140 and 1240 act as obstacles to each other,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may be prevented from slipping.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가 위와 같이 서로 인접되면서 어긋나게 배치된다는 것은 결국 한쪽 관통공(1130)과 반대편 관통공(1230)이 서로 어긋나면서 인접되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관통공(1130, 1230)의 개수와 전체면적을 최대로 얻고자 하는 방편이기도 하다. 이렇게 관통공(1130, 1230)의 개수가 많고 전체면적이 크면, 관통공(1130, 1230)으로 들어가는 인상재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그로인해 인상재가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에 달라붙는 힘이 더욱 강해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As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s 1140 and 1240 are disposed to be shifted while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t means that one through hole 1130 and the opposite through hole 1230 are dispos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by being shifted from each other. It is also a way to maximize the number and total area of (1130, 1230). If the number of through holes 1130 and 1230 is large and the total area is large, the amount of impression material entering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increases, and thus the impression material differs from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It is desirable that the sticking force becomes stronger.
한쪽, 위와 같이 관통공(1130)과 반대편 관통공(1230)이 서로 어긋나면서 인접되게 배치되면, 기저판(1110, 1210)의 가장자리쪽에서는 한쪽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와 반대편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형상이 되기 때문에, 두개의 기저판(1110, 1210) 사이가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의 측벽에 의하여 막혀 틈이 없게 된다. 따라서 인상채득시 두 개의 기저판(1110, 121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When the through holes 1130 and the opposite through holes 1230 are dispos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being displac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ide side leakage prevention part 1140 and the opposit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 at the edges of the base plates 1110 and 1210. Since the portions 1240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two base plates 1110 and 1210 are blocked by the side walls of the lower side surface leakage preventing portions 1140 and 1240 so that there is no ga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between the two base plates 1110 and 1210 during the acquisition.
이때, 관통공(1130, 1230) 중의 일부는 치아테두리(1120, 12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것이다. 이 때 복수개의 돌출바(1150, 1250) 중 관통공(1130, 1230) 상에 위치하는 돌출바(1150, 1250)는 도 33 및 도 34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밑단이 관통공(1130, 1230)에서 이격되어 언더컷(1151, 125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언더컷(1151, 1251)은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물었다가 놓는 과정에서 인상재가 걸림으로써 상하악트레이(1100, 1200)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붙잡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some of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dental borders 1120 and 122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bars 1150 and 1250 positioned on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amo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 bars 1150 and 1250 may have a bottom hole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A of FIGS. 33 and 34.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undercuts 1151 and 125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1130, 1230. The undercuts 1151 and 1251 serve to hold the impression material so that it is not detached from the upper and lower jaw trays 1100 and 1200 by the impression material being caught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많은 돌출바(1150, 1250) 중에서 관통공(1130, 1230) 상에 있는 돌출바(1150, 1250)에 언더컷(1151, 1251)을 형성하는 이유는 관통공(1130, 1230)을 통하여 도구를 집어넣어 돌출바(1150, 1250)의 밑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언더컷(1151, 1152)에 의하여 인상재 탈락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그 밑의 관통공(1130, 1230)도 역시 인상재 탈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바람직하다. The reason why the undercuts 1151 and 1251 are formed in the protruding bars 1150 and 1250 on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among the many protrusion bars 1150 and 1250 is that the tool is picked up through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This is because the bottom ends of the protrusion bars 1150 and 1250 can be easily removed. Then, not only the fallout of the impression material is prevented by the undercuts 1151 and 1152, but also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thereunder may also serve to prevent the fallout of the impression material.
도 36은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는 윗단 입구가 관통공(1130)보다 커서 관통공(1130)의 테두리가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1180)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악트레이(1200)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3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s 1140 and 1240. Referring to FIG. 36,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art 1140 has an upper end entrance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1130, so th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30 protrudes inwardly of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art 1140, and thus the locking step 1180. ) Is preferably installed to form. This is the same also in the case of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 1240 of the lower tray 1200.
이러한 걸림턱(1180)도 언더컷(1151, 125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물었다가 놓는 과정에서 인상재가 상하악트레이(1100, 1200)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붙잡는 역할을 한다. Like the case of the undercuts 1151 and 1251, the locking jaw 1180 also serves to hold the impression material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not detached from the upper and lower jaw trays 1100 and 1200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
다시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한쪽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와 반대편 하부측면유출방지부(1240)를 서로 어긋나게 끼우면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가 제자리를 찾으면서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 외측이 서로 면접되면서 결합될 것이지만, 제위치에서의 결합이 보다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결합유도부(2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 to 34 again, when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 1140 and the opposit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 1240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trays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find their positions and Although the side outflow prevention parts 1140 and 1240 will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interviewed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induction part 270 is formed to make the coupling in place easier.
결합유도부(1270)는 상악트레이(1100)나 하악트레이(1200) 중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좋은데, 도 32 내지 도 34에서는 상악트레이(1100)에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The coupling guide unit 1270 may be installed at any one of the upper jaw tray 1100 and the lower jaw tray 1200. In FIG. 32 to FIG. 34, the coupling guide unit 1270 is installed at the upper jaw tray 1100.
결합유도부(1270)는 기저판(12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손잡이(1260)도 기저판(1210)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예컨대, 하악트레이(1200)의 손잡이(1260)에 상악트레이(1100)의 손잡이(1160)와 합치되는 형상으로 제1결합유도부(1271)를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또한 기저판(1210)에 상악트레이(1100)의 치아 뒤쪽 테두리(1122)에 합치되면서 걸리도록 제2결합유도부(1272)를 돌출되게 형성시키면, 대충의 집중력만 가지고도 제1결합유도부(1271)와 제2결합유도부(1272)의 도움을 받아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가 제위치에 자리잡도록 하면서 편하고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The coupling guide portion 127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ase plate 1210, and in this case, the handle 1260 may also be regarded as part of the base plate 1210.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guide portion 127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andle 1260 of the lower tray 1200 in a shape that coincides with the handle 1160 of the upper tray 1100, and the upper tray 1210 is formed on the base plate 1210. When the second coupling induction part 1272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ear edge 1122 of the tooth 1100, the first coupling induction part 1271 and the second coupling induction part 1272 may be assisted even with a concentrated concentration. Receiving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can be easily and easily coupled while being in place.
도 37은 관통공(1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결합유도부(1270)에 의해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가 제위치 결합되어 상호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관통공(1130)의 존재로 인하여 인상재를 붙잡는 효과가 발생하기는 하지만, 그 효과가 다소 약할 수 있으므로 걸림턱(1180)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대체 구성요소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관통공(1130)은 기저판(1110)의 윗면에서 아랫면쪽으로 갈수록 구경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관통공(1130)으로 들어간 인상재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는, 하악트레이(1200)의 관통공(12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FIG. 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rough hole 1130. FIG. If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are in position coupled by the coupling induction unit 1270 and mutual sliding does not occur,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ng units 1140 and 1240 may not be installed. In this case, although the effect of catching the impression material occurs due to the presence of the through hole 1130, the effect may be slightly weak, it is preferable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component that can function as the locking step (1180). To this end, the through hole 1130 is preferably wider toward the lower 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0. Then, the impression material entered into the through hole 1130 is not easily escaped. This is similarly applied to the through hole 1230 of the lower tray 1200, even if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unit (1140, 1240) is installed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한편, 기저판(1110, 1210)에 관통공(1130, 1230)을 형성시키는 대신에 인상재(1060)가 잘 달라붙을 수 있는 본딩물질이나 부직포를 기저판(1110, 1210)의 윗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인상재(1060)의 탈착을 방지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속한다. Meanwhile, instead of forming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in the base plates 1110 and 1210,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is attached by attaching a bonding material or a nonwoven fabric to the top surfaces of the base plates 1110 and 1210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may stick. The prevention of desorption of) belongs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8a에서와 같이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의 양쪽에 인상재(1060)를 채운다. 그리고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물게 한 후 이를 빼낸다. 그러면 도 38b에서와 같이 상악트레이(1100)에는 상악본(1070a)이 형성되고 하악트레이(1200)에는 하악본(1070b)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38c에서와 같이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를 분리한 후, 도 38d에서와 같이 상악본(1070a)과 하악본(1070b)이 모두 위를 향하도록 놓은 후에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 각각에 석고(1080)를 부어 넣는다. 3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mpression materials 1060 are filled on both sides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s shown in FIG. 38A. Then, the operator bites the tray for dental impression 1002 and then pulls it out. Then, as shown in FIG. 38B, the upper jaw 1070a is formed in the upper jaw tray 1100, and the lower jaw 1070b is formed in the lower jaw tray 1200. Next, after separating the maxillary tray 1100 and the mandibular tray 1200 as shown in FIG. 38c, and after placing the maxillary bone 1070a and the mandibular bone 1070b facing up as shown in FIG. 38d, the maxillary tray ( Pour gypsum 1080 into each of the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도 38a에서 채워진 인상재(1060)는 관통공(1130, 1230)을 통하여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 내에 꽉 채워진다. 그러면 인상재(1060)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에 저촉되는 면적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 내벽을 밀면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에 인상채득 과정에서 점착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인상재(1060)가 쉽게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에서 탈착되지 않는다.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는 인상재(1060)가 다른 곳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filled in Figure 38a is tightly filled in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ortion (1140, 1240) through the through holes (1130, 1230). Then,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is not only increase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but also is filled tightly while pushing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s (1140, 1240), the adhesive force acts strongly in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to raise the impression material ( 1060 is not easily removable from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s 1140 and 1240 serve to prevent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from flowing into other places.
이 때, 언더컷(1151, 1251) 및 걸림턱(1180)의 존재로 인해 이러한 탈착방지 효과가 배가되며, 도 37에서와 같은 관통공(1130)의 형상도 이러한 탈착방지 효과에 기여한다. 물론, 관통공(1130, 1230)만의 존재로도 인상재(1060)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부여된다. At this time, due to the presence of the undercuts (1151, 1251) and the locking jaw (1180) double the desorption effect, the shape of the through-hole 1130 as shown in Figure 37 also contribute to this desorption prevention effect. Of course, even in the presence of only the through holes 1130 and 1230,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is provided with an effect of not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tray 1002 for dental impressions.
하부측면유출방지부(1140, 1240)는 피시술자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를 꽉 물었을 때에 인상재(1060)가 두 개의 기저판(1110, 1210) 사이를 통하여 옆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인상재(1060)가 두 개의 기저판(1110, 1210) 사이를 통하여 옆으로 밀려나게 되면 인상과정에서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가 어긋나 버리거나 또는 인상재(1060) 소비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The lower side leakage prevention parts 1140 and 1240 also block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from being pushed sideways through the two base plates 1110 and 1210 when the subject bites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do.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is pushed sideways through the two base plates 1110 and 12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jaw tray 1200 is displaced or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consumption is increased during the pulling process. .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악의 구강상태를 동시에 인상채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인상채득 과정이 간단하고 시간도 절약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upper and lower jaw can be acquired at the same time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s simple and saves time.
또한, 석고(1080)를 붓는 과정이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에 먼저 석고(1080)를 붓고 굳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른 한쪽에 석고(1080)를 부어넣는 종래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pouring the gypsum 1080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maxillary tray 1100 and the mandatory tray 1200 are separated, the gypsum 1080 is poured on one side and waited until it is hardened, and then the gypsum 1080 on the other side. ),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the conventional process of pouring.
즉, 도 38d에서와 같이 상악트레이(1100)와 하악트레이(1200)에 대해서 양쪽에 석고를 함께 부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양쪽에서 석고가 굳는 총시간이 종래에 비하여 단축되고, 한쪽의 석고가 굳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부피변화에 의해 다른 쪽이 영향을 받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That is, since gypsum can be pour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tray 1100 and the lower tray 1200, as shown in FIG.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other side is affected by the heat or volume change that occurs at.
뿐만 아니라, 인상채득 과정에서 인상재(1060)가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많은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상재(1060)를 과도하게 사용할 필요가 없어 인상재(1060)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in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ncludes a number of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the removal from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there is no need to excessively use the impression material 1060 as in the conventional impression material 1060 Reduce the consumption of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상하악 전치부, 상하악 구치부, 및 상하악 전체부위를 채득하기 위하여 외형만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33에서와 같이 상하악 전치부를 주로 채득하기 위한 외형을 할 수도 있지만, 도 39에서와 같이 상하악 구치부를 채득하기 위한 외형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modify the appearance only in order to obtain the upper and lower jaw anterior, upper and lower jaw molar, and the entire upper and lower jaw.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3, the contour for mainly acquiring the upper and lower jaw anterior parts may be outlined.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의 또 다른 형태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40 and 41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2의 하악트레이(1200)의 경우 치아 앞쪽 테두리(1221)가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도 40에서와 같이 물기에 편하도록 양 끝부분(A) 의 높이를 낮게 하거나, 치아 앞쪽 테두리(1121, 1221)의 가운데 부분(B)을 오목하게 만곡지게 하는 등 치아테두리(1120, 1220)의 높이나 형상 등에 다양한 변화가 있다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In the case of the lower tray 1200 of FIG. 32, the front edge 1221 of the tooth has a constant heigh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Even if there are various changes in the height or shape of the dental rims 1120 and 1220, such as concave curved portion B of the front edges 1121 and 1221, they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1의 구치부 치과 인상용 트레이에서와 같이, 상악과 하악의 자연스러운 교합평면(curve of spee)의 형태를 따라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가 커브 형상을 할 수 있으며, 기저판(1110, 1210)의 옆 부분에 치아테두리가 형성되지 않고 평면을 이룰수도 있는데, 이렇게 기저판(1110, 1210)이나 치과 인상용 트레이(1002)의 다양한 형태 변형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좌측 구치부 치과 인상용 트레이와 우측 구치부 치과 인상용 트레이는 서로 같은 형상을 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형상을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posterior dental impression tray of FIG. 41,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may have a curved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natural occlusion of the upper and lower jaw, and the base plates 1110 and 1210. The edges of the) may form a flat surface without forming a dental rim, and thus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shape of the base plates 1110 and 1210 or the dental impression tray 1002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posterior dental impression tray and the right posterior dental impression tray may have the same shape or may have different shapes.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는 가이드 트레이(2010)와 인상 트레이(20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for dental impressions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tray 2010 and an impression tray 2020.
가이드 트레이(2010)는 치아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한쪽 면에 치아수용부(20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트레이(2010)를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하였을 때에 일반 치아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분도 치아수용부(2011)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밖에서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가이드 트레이(201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tray 2010 includes a tooth accommodating portion 2011 on one side so that the tooth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When the guide tray 2010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not only the general teeth but also the portions where the implant fixtures are placed are located in the tooth accommodation unit 2011.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s are placed is visually placed from the outside. The guide tray 201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grasp.
여기서 투명이란 100% 투명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안에 있는 임플란트 부위를 들여다보면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다. 물론,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투명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할 것이다. Transparency here does not mean that you have to be 100% transparent, but it is enough if you can see the location of the implant inside. Of course, higher transparency would be desirable for accurate positioning.
가이드 트레이(2010)의 손잡이(2012)까지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치아수용부(2011)의 기저면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물론, 치아수용부(2011)의 측면까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면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확인하는데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The handle 2012 of the guide tray 2010 does not need to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base surface of the dental accommodating part 2011 is sufficient to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f course, if the transparent material is made up to the side of the tooth accommodating portion (2011), it will be more prefera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가이드 트레이(2010)에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위치좌표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20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표식부(2013)는 숫자표시부(2013a), 중심표시부(2013b), 구간표시부(201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guide tray 2010,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mark portion 2013 is formed so that the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can be expressed in position coordinates. The guide marking unit 2013 preferably includes a number display unit 2013a, a center display unit 2013b, and a section display unit 2013c.
통상적으로 사람의 치아는 상악과 하악 각각에 좌측으로 8개, 우측으로 8개 형성되어 윗니 16개, 아랫니 16개가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숫자표시부(2013a)는 치아의 위치에 순번을 매길 수 있도록 구강 중심을 기점으로 하여 좌측으로 1~8번, 우측으로 1~8번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ypically, the teeth of a person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jaw, respectively, 8 on the left and 8 on the right, and there are 16 upper teeth and 16 lower teeth. In view of this point, the number display unit 2013a is preferably displayed in the form of 1 to 8 times to the left and 1 to 8 times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oral cavity so as to rank the positions of the teeth.
중심표시부(2013b)는 각 번호의 중심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열십자(+)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숫자표시부(2013a)와 중심표시부(2013b)는 중첩되게 표시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게 표시될 수도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전자의 경우가 바람직할 것이다. 구간표시부(2013c)는 치아 사이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숫자 사이에 구분선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표시부(2013b)의 열십자에는 각 사분면을 나타내는 표시가 있으면 좋은데, 도면에서는 이에 대해 A, B, C, D라 표현되었다. The center display portion 2013b is preferably displayed in a cross shape (+) so as to grasp the center position of each number. The numeric display portion 2013a and the center display portion 2013b may be displayed overlappingly or not, but the former case may be preferab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val display unit 2013c is for displaying a boundary between teeth, and is preferably displayed as a dividing line between numbers. In the crosshair of the center display portion 2013b, there should be a mark indicating each quadrant, which is represented as A, B, C, and D in the drawing.
이러한 가이드 표식부(2013)는 치아수용부(2011)가 형성된 반대편 면에 형성되는 것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기에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치아수용부(2011)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Such a guide mark portion 2013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ooth receiving portion 2011 is visible to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Of course, in some cases it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ental accommodating portion 2011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상 트레이(2020)는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트레이(2010)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파악한 우 이를 제거한 상태에서 치아부에서 설치된다. The impression tray 2020 is used to imitate the site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The impression tray 2020 is installed in the teeth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tray 2010 grasps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인상 트레이(2020)에는 인상재가 수용되는 인상재 수용부(2022)가 형성되며, 인상재 수용부(2022)가 치아부에 물리도록 설치함으로써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게 된다. The impression tray 2020 is provid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2022 for accommodating an impression material, and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2022 is installed so as to be snapped into the teeth to simulate the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implanted.
인상 트레이(2020)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에 본뜨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 가이드 표식부(2013)에 의해서 파악되는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곳에 정확하게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2013)에 매칭되는 관통위치 표시부(2023)가 인상 트레이(20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mpression tray 2020, a b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guide mark part 2013 is formed so that the through hole can be accurate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 grasped by the guide mark part 2013. ) Is preferably formed in the impression tray 2020.
예컨대, 가이드 표식부(2013)로서 표시된 숫자, 선, 기호 등의 표식을 인상 트레이(2020)의 같은 위치에 같은 형식으로 관통위치 표시부(2023)로서 표시하여, 가이드 트레이(2010)를 통해 파악되는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인상 트레이(2020)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위치 표시부(2023)는 숫자표시부(2023a), 중심표시부(2023b), 구간표시부(2023c)를 포함할 것이다. For example, a mark such as a number, a line, a symbol, and the like displayed as the guide marking unit 2013 is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f the impression tray 2020 as the through position display unit 2023 in the same form, and is identified through the guide tray 2010.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impression tray 2020 so as to exactly match the placement positions of the implant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position display unit 2023 may include a number display unit 2023a, a center display unit 2023b, and a section display unit 2023c.
인상 트레이(2020)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으면서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pression tray 202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because the through-hole should be able to be formed while having a certain degree of strength.
도 43 및 도 44는 도 42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43 and 44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FIG. 42.
먼저, 도 4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2010)를 임플란트 픽스쳐(2101)가 식립되어 있는 치아부에 설치한다. 이 때 가이드 트레이(201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 트레이(2010)를 통하여 임플란트 픽스쳐(2101)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위치에 대해 가이드 트레이(2010)의 가이드 표식부(2013)에 참조번호 A와 같이 마킹한다. First, as shown in FIG. 43A, the guide tray 2010 is installed in the tooth portion in which the implant fixture 2101 is placed.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tray 20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2101 is placed through the guide tray 2010 can be grasp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guide tray 2010 can be located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Marked as reference numeral A in the guide marker (2013).
이러한 마킹은 시술자가 유성펜 등을 통하여 직접 마킹할 것인데, 이렇게 가이드 트레이(2010)에 직접 마킹하지 않고 그 위치좌표를 진료카드에 기재하여 둘 수도 있다. 또는 진료카드에 가이드 표식부(2013)와 동일한 표식부를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해당 위치에 직접 체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Such marking will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operator through the oil pen or the like. Instead of marking the guide tray 2010 directly, the positional coordinates may be written on the medical card. Alternatively, the same marking part as the guide marking part 2013 may be made in advance on the medical card, and the check mark may be directly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경우에 따라, 가이드 트레이(2010)의 설치는 코핑 스크류(2103)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2101)에 임프레션 코핑(2102)을 설치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some cases, the guide tray 2010 may be installed after the impression coping 2102 is installed in the implant fixture 2101 using the coping screw 2103.
다음에,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 트레이(2020)의 관통위치 표시부(2023)를 보면서 가이드 표식부(2013)에 의해 특정된 위치좌표와 동일한 곳에 관통홀(h)을 뚫는다. Next, as shown in FIG. 43B, the through hole h is drill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coordinate specified by the guide marker portion 2013 while looking at the through position display portion 2023 of the impression tray 2020.
이어서, 도 4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핑 스크류(2103)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2101)에 임프레션 코핑(2102)을 설치하고, 인상 트레이(2020)에 인상재를 채운 다음에, 도 43d에서와 같이 인상재 수용부(2022)가 치아부에 물리도록 하여 본을 뜬다. 이 때 임프레션 코핑(2102)과 코핑 스크류(2103)는 주위의 치아보다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2102) 및 코핑 스크류(2103)가 관통홀(h)을 통하여 인상 트레이(2020)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 43C, the impression coping 2102 is installed in the implant fixture 2101 using the coping screw 2103, and the impression tray 2020 is filled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n as shown in FIG. 43D.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ng part 2022 is made to bite into a tooth | part, and a pattern is made. At this time, since the impression coping 2102 and the coping screw 2103 are higher than the surrounding teeth, the impression coping 2102 and the coping screw 2103 are out of the impression tray 2020 through the through hole h in this process. It pops out.
인상 트레이(2020)에 인상재를 채울 때에 관통홀(h)을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쉽게 찢어지는 재질, 예컨대 비닐 등으로 관통홀(h)이 있는 부위를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링할 때 이렇게 쉽게 찢어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관통홀(h)을 통하여 코핑 스크류(2103) 및 임프레션 코핑(2102)이 뚫고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When filling the impression tray 2020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cover a portion having the through hole h with a material that is easily torn, such as vinyl,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h. The reason for using such a material that is easily torn when covering is to allow the coping screw 2103 and the impression coping 2102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h.
다음에, 도 43e에서와 같이 코핑 스크류(2103)를 풀고 인상 트레이(2020)를 들어내면 임플란트 픽스쳐(2101)는 가만히 있고 임프레션 코핑(2102)만 딸려오면서 인상 트레이(2020)의 인상재 내에 임프레션 코핑(2102)이 박혀있는 상태로 치아본이 떠진다. Next, as shown in FIG. 43E, when the coping screw 2103 is released and the impression tray 2020 is lifted up, the impression fixture 2101 is still and only the impression coping 2102 is accompanied by the impression coping (i.e., in the impression material of the impression tray 2020). 2102) the toothbone floats with the nail embedded.
종래에는 인상재 트레이(2020)에 관통홀을 형성시킬 때에 대충 눈 짐으로 하였기 때문에 위치 선정의 에러를 감안하여 관통홀을 크게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다. 이 경우 인상과정에서 인상재가 관통홀을 통하여 과다하게 밖으로 누설되기 때문에 인상재 과다소비 뿐만 아니라 인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tray 2020, the through hole has to be made large in view of the error of positioning. In this case, since the impression material is excessively leaked out through the through-hole during the impression process, there is a problem such as not only the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but also the impression is not made properly.
그러나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2010)를 이용하여 인상 트레이(2020)의 정확한 위치에 관통홀(h)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관통홀(h)을 쓸데없이 크게 형성시킬 필요 없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through hole h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impression tray 2020 by using the guide tray 2010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through hole h unnecessarily large. do.
도 44를 참조하여 계속해서 후속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subsequ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4 as follows.
도 4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 트레이(2020)에 박혀있는 임프레션 코핑(2102)에 임플란트 픽스쳐(2101)와 동일한 기공용 아날로그(lab analog, 2101')를 끼우고, 코핑 스크류(2103')를 통하여 기공용 아날로그(2101')를 고정시킨다. 이때의 코핑 스크류(2103')는 앞서 사용된 것과 같은 것 일수도 있지만 새것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44A, the same pore analog 2101 'as the implant fixture 2101 is inserted into the impression coping 2102 embedded in the impression tray 2020, and the coping screw 2103' is inserted. The pore analog 2101 'is fixed. The coping screw 2103 'at this time may be the same as that used previously, but is preferably used as a new one.
다음에, 도 4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 트레이(2020)에 석고를 부은 후, 도 44c에서와 같이, 석고가 굳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코핑 스크류(2103')를 풀어서 제거한 다음에 석고를 떼어내면 기공용 아날로그(2101')가 박혀있는 상태의 복제석고모형(2110)이 완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 44B, after pouring the plaster into the impression tray 2020, wait until the plaster is solid, as shown in Figure 44C, then loosen and remove the coping screw 2103 'and then remove the plaster The replica gypsum model 2110 with the common analog 2101 'embedded therein is completed.
이후에는 이러한 복제석고모형(2110)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보철물(prosthesis)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Thereafter, the abutment is fastened to the replica gypsum model 2110, and a prosthesis is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인상 트레이(2020)의 구성에서 차이가 난다. 사용방법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FIG. 4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iffer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impression tray 2020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method of use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인상 트레이(2020)는 외부 트레이(2020a)와 내부 트레이(2020b)로 구분되며, 이들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거나 혹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mpression tray 2020 is divided into an outer tray 2020a and an inner tray 2020b, which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분리 가능한 체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45에서는 후크(2025)를 통한 체결방식이 도시되었다. 이 경우 후크(2025)는 외부 트레이(2020a)와 내부 트레이(202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것이며, 후크(2025)에 체결되는 후크 결합홈은 그 상대방측에 설치될 것인데, 도 45에서는 외부 트레이(2020a)에 후크(2025)가 설치되고 그 상대방인 내부 트레이(2020b)에 후크 결합홈이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이 때 후크(2025)는 내부 트레이(2020b)의 중앙부위를 피해서 가장자리 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크(2025)에 의해 인상재의 채워짐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Detachable fastening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the fastening method through the hook 2025 i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hook 2025 will be installed in one of the outer tray 2020a and the inner tray 2020b, and the hook coupling groove fastened to the hook 2025 will be installed at the other side thereof. The case where the hook 2025 is installed in 2020a and the hook coupling groove is installed in the inner tray 2020b which is the counterpart is shown. At this time, the hook 2025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edge sid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tray 2020b, so that the filling of the impression material by the hook 2025 is not disturbed.
내부 트레이(2020b)가 덜거덕 거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내부 트레이(2020b)의 측벽 윗단에 바깥으로 향하다가 밑으로 약간 절곡되는 걸침부(2024)를 두어, 걸침부(2024)가 외부 트레이(2020a)의 테두리에 걸쳐지면서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the inner tray 2020b from rattling or moving, the latch 2024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inner tray 2020b to be outwardly bent slightly, so that the latch 2024 is formed of the outer tray 2020a. It is desirable to fit over the rim.
내부 트레이(2020b)는 인상 트레이(2020)를 치아에서 들어낼 때에 인상재가 치아가 아닌 인상 트레이(2020) 쪽에 잘 달라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 트레이(2020b)에는 인상재 캐치부(20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인상재 캐치부(2021)는 관통홀, 단턱부, 또는 돌출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5에서는 인상재 캐치부(2021)가 관통홀 형태로 구현된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The inner tray 2020b is for making the impression material stick to the impression tray 2020 side rather than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tray 2020 is lifted out of the tooth. To this end, the impression catch portion 202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inner tray 2020b. The impression catch portion 202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hrough hole, a stepped portion, or a protrusion. In FIG. 45, a case in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2021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별도의 외부 트레이(2020a)가 있는 제2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가이드 트레이(2010)가 외부 트레이(2020a)의 역할을 겸함으로써, 가이드 트레이(2010)와 내부 트레이(2020b)가 한 세트를 이루어 하나의 인상 트레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4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a separate outer tray 2020a, the guide tray 2010 is an outer tray. It is a case where the guide tray 2010 and the inner tray 2020b form a set and serve as one impression tray by serving as the role of 2020a.
내부 트레이(2020b)는 가이드 트레이(2010)를 통하여 확인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가이트 트레이(2010)의 내측에 체결 설치된다. The inner tray 2020b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tray 2010 so that a through hole can b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identified through the guide tray 2010.
내부 트레이(2020b)와 가이드 트레이(2010)는 한 몸체를 이루어 하나의 인상 트레이로서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는 데 사용될 것이지만,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 파악을 위하여 가이드 트레이(2010)만을 먼저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부 트레이(2020b)와 가이드 트레이(2010)는 일체형을 이루기보다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tray 2020b and the guide tray 2010 will form a body and will be used as an impression tray to imitate the site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However, only the guide tray 2010 is first u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Since the inner tray 2020b and the guide tray 2010 should be used separately, it is preferable to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tray 2020b and the guide tray 2010 are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분리 가능한 체결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2025)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 트레이(2020b)가 가이드 트레이(2010)에 제대로 고정되도록 걸침부(20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tachable fastening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hook 2025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2024 is formed so that the inner tray 2020b is properly fixed to the guide tray 2010.
내부 트레이(2020b)는 인상재가 잘 달라붙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상재 캐치부(20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inner tray 2020b is for sticking the impression material well, and includes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2021 as described above.
도 47은 도 46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shown in FIG. 46.
먼저, 도 4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2010)를 임플란트 픽스쳐(2101)가 식립되어 있는 치아부에 설치한다. 이 때, 가이드 트레이(201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 트레이(2010)를 통하여 임프레션 코핑(2102) 내지 코핑 스크류(2103)가 있는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해당 위치에 대해 가이드 트레이(2010)에 참조번호 A와 같이 마킹한다. First, as shown in FIG. 47A, the guide tray 2010 is installed in the tooth portion in which the implant fixture 2101 is placed.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tray 20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position where the impression coping 2102 to the coping screw 2103 is located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rough the guide tray 2010, and the guide tray for the corresponding position. (2010) as shown by reference number A.
이러한 마킹은 가이드 트레이(2010)가 구강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구강 밖으로 꺼낸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가이드 표식부(2013)가 없을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시술자가 위치좌표를 기억했다가 가이드 트레이(2010)를 꺼낸 후 마킹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가이드 트레이(2010)에 가이드 표식부(20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mark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guide tray 2010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or may be taken out of the oral cavity. In the former case, there may not be a guide marker portion 2013, but in the latter case, since the operator remembers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hen takes out the guide tray 2010, the marking is performed. 2013) is preferably formed.
다음에, 도 4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2010)와 내부 트레이(2020b)을 결합시킨 다음에 가이드 트레이(2010)의 마킹 부위(A)에 내부 트레이(2020b)까지 관통되도록 관통홀(h)을 형성시킨다. 그러면 관통홀(h)이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정확하게 형성될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 47B, the guide tray 2010 and the inner tray 2020b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through hole (20) passes through the marking portion A of the guide tray 2010 to the inner tray 2020b. h). The through hole h will then be formed precisely at the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이어서, 도 4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2010)와 내부 트레이(2020b)가 한 몸체를 이룬 상태에서 가이드 트레이(2010)의 치아수용부(2011)에 인상재를 채운다. 이 때 인상재는 인상재 캐치부(2021)에 의해 내부 트레이(2020b)에 강하게 붙들리게 된다.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47C, the impress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dental accommodating portion 2011 of the guide tray 2010 in a state where the guide tray 2010 and the inner tray 2020b form a body. At this time, the impression material is strongly held to the inner tray 2020b by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021.
이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코핑 스크류(2103)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쳐(2101)에 임프레션 코핑(2102)을 설치한다. 가이드 트레이(2010)를 설치하기 위한 도 47a의 과정 전에 이미 임프레션 코핑(2102)의 설치과정이 선행될 수도 있다. In this process, the impression coping 2102 is installed on the implant fixture 2101 using the coping screw 2103. The installa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2102 may already be preceded by the process of FIG. 47A for installing the guide tray 2010.
내부 트레이(2020b)가 설치된 가이드 트레이(2010)에 인상재를 채울 때에 관통홀(h)을 통하여 인상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쉽게 찢어지는 재질, 예컨대 비닐 등으로 관통홀(h)이 있는 부위를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filling the impression material in the guide tray 2010 provided with the inner tray 2020b, the through hole h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tor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h. It is desirable to cover the area where it is.
다음에, 도 4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레이(2010)의 치아수용부(2011)가 치아부에 물리도록 하여 본을 뜬다. 이 때 임프레션 코핑(2102) 및 코핑 스크류(2103)가 주위의 치아보다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2102) 및 코핑 스크류(2013)가 관통홀(h)을 통하여 가이드 트레이(2010)의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47D, the tooth accommodating portion 2011 of the guide tray 2010 is made to bite into the tooth portion. At this time, since the impression coping 2102 and the coping screw 2103 are higher than the surrounding teeth, the impression coping 2102 and the coping screw 2013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h in the process. Sticks out.
이어서, 도 4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핑 스크류(2103)를 풀고 한 몸체 상태의 가이드 트레이(2010)와 내부 트레이(2020b)를 들어내면 임플란트 픽스쳐(2101)는 가만히 있고 임프레션 코핑(2102)만 딸려오면서 인상재 내에 임프레션 코핑(2102)이 박혀 있는 상태로 치아본이 떠진다. Then, as shown in FIG. 47E, when the coping screw 2103 is released and the guide tray 2010 and the inner tray 2020b in one body state are lifted up, the implant fixture 2101 is still and only the impression coping 2102 is attached. In the coming toothbone floats with the impression coping 2102 embedd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한편, 가이드 트레이(2010) 뿐만 아니라 내부 트레이(2020b)도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면,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파악함에 있어서 가이드 트레이(2010)만을 먼저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트레이(2010)와 내부 트레이(2020b)가 한 몸체를 이룬 상태에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파악하는 작업과 본뜨는 작업이 모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not only the guide tray 2010, but also the inner tray 2020b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only the guide tray 2010 separately in grasp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In other words, the guide tray 2010 and the inner tray 2020b may form both a work of identifying the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and a bonding work in a state of forming a body.
이렇게 내부 트레이(2020b)까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이드 트레이(2010)와 내부 트레이(2020b)가 반드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When the inner tray 2020b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tray 2010 and the inner tray 2020b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detachably fastened,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9는 도 48의 트레이 몸체(2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y body 2100 of FIG.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트레이 몸체(2100)는 바닥에 개방부(2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2111)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2112)가 트레이 몸체(2100)의 바닥에 설치된다. 바닥부재(2112)는 임프레션 코핑(2102) 및 코핑 스트류(2103)가 쉽게 관통되어 나올 수 있도록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48 and 49, the tray body 2100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has an opening 2111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 bottom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block the opening 2111. 2112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ay body 2100. The bottom member 2112 is preferably made of a vinyl material so that the impression coping 2102 and the coping strand 2103 can be easily penetrated through.
트레이 몸체(2100)의 바닥 윗부분에는 인상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인상재 수용부(2105)가 형성된다. 수용부 측벽(2104)의 내측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2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상재 캐치부(2121)는 좌우양옆과 윗부분은 막히고 아랫부분은 개방되어 있는 오목홈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상재 캐치부(2121)가 상기 오목홈 형상으로 옆으로 복수개 형성될 경우 인접한 오목홈 형상들은 캐치부 측벽(2122)을 공유하게 될 것이다.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ng part 2105 is formed on the bottom upper portion of the tray body 2100 to accommodate the impression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121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side wall 2104 to hold the impression material.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121 preferably has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part are blocked and the lower part is open. When a plurality of impression material catches 2121 are formed in the concave groove sideways, adjacent concave groove shapes will share the catch side wall 2122.
캐치부 측벽(2122)은 단면이 사각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4실시예에서는 일정한 두께를 가져서 그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ch portion side wall 2122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a case has a constant thickness so that the cross section has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캐치부 측벽(2122)은 참조부호 t1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인상재 수용부(2105)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캐치부 측벽(2122)의 말단과 인상재 수용부(2105) 바닥 사이의 틈에 인상재가 끼어들어가게 되어 인상재가 캐치부 측벽(2122)에 의해서도 더욱 강하게 붙들리게 된다. 또한 인상재가 치아에 가압되면서 눌려 밀착되기 때문에 치아의 형태가 더 정확하게 나오게 된다. The catch portion side wall 2122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ng portion 2105,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t1. This causes the impression material to enter the gap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catch side wall 2122 and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2105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more strongly held by the catch side wall 2122. In addition, since the impression material is pressed against the tooth, the shape of the tooth comes out more accurately.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1은 도 50의 트레이 몸체(2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0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y body 2100 of FIG.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면, 제5실시예는 캐치부 측벽(2122)의 단면이 사각 형상을 하되, 수용부 측벽(2104) 쪽의 두께가 더 가늘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한다는 점에서 제4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이렇게 개치부 측벽(2122)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하면 인상재가 인상재 캐치부(2121)에 더 강하게 붙들려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50 and 51, the fourth embodiment has a cross section of the catcher side wall 2122 in the shape of a square, but has a thinner thickness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side wall 2104,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trapezoidal in shape. It differs from the examples. Thus,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utout side wall 2122 has a trapezoidal shape, the impression material is more strongly held by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art 2121, which is preferable.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3은 도 52의 트레이 몸체(2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y body 2100 of FIG.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는 캐치부 측벽(2122)이 수용부 측벽(2104)에서 참조부호 t2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약간 들뜨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4 및 제5 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그러면 캐치부 측벽(2122)과 수용부 측벽(2104) 사이의 들떠있는 틈(t2)으로 인상재가 끼어들어가게 되어, 인상재가 캐치부 측벽(2122)에 의해서도 더욱 강하게 붙들릴 뿐만 아니라 인상재가 치아에 가압되면서 눌려 밀착되기 때문에 치아의 형태가 더 정확하게 나오게 된다. 52 and 53, the six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in that the catch sidewall 2122 is slightly lifted up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t2 at the receiving sidewall 2104. It makes a difference. This causes the impression material to enter into the gap t2 between the catch side wall 2122 and the receiving side wall 2104, which not only holds the impression material stronger by the catch side wall 2122, but also the impression material is pressed against the tooth. As it is pressed down, the shape of the tooth comes out more accurately.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5는 도 54의 내부트레이(2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ner tray 2220 of FIG.
도 54 및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인상용 트레이(2001)는 외부 트레이(2210)와 내부 트레이(2220)를 포함하며, 외부 트레이(2210)와 내부 트레이(2220)의 바닥 각각에는 개방부(2201)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54 and 55, the dental impression tray 2001 includes an outer tray 2210 and an inner tray 2220, each of which is open to the bottom of the outer tray 2210 and the inner tray 2220. The part 2201 is formed.
외부 트레이(2210)의 개방부(2201) 또는 내부 트레이(2220)의 개방부(2201)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가 설치되는데, 도 54에서는 이러한 바닥부재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상기 바닥부재는 내부 트레이(2220)의 안쪽에 설치되거나, 내부 트레이(2220)와 외부 트레이(2210) 사이에 설치되거나, 외부 트레이(2210)의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다. A bottom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installed to block the opening portion 2201 of the outer tray 2210 or the opening portion 2201 of the inner tray 2220. In FIG. 54, the bottom member is omitted. The bottom memb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ner tray 222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tray 2220 and the outer tray 2210, o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outer tray 2210.
내부 트레이(2220)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2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상재 캐치부(2221)는 관통홀, 단턱부, 또는 돌출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제7실시예에서는 관통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내부 트레이(2220)에 관통홀이 형성되더라도 이러한 관통홀 형성부위가 외부 트레이(2210)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인상재가 밖으로 흘러내리지는 않는다. It is preferable that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221 is formed in the inner tray 2220 to hold the impression material.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222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hrough hole, a stepped portion, or a protrusion.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ing portion 2221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Even thoug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ner tray 2220, the impression material does not flow out because the through hole forming part is blocked by the outer tray 22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68)

  1.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는 외부 트레이; 및An outer tray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of a U-shaped cross section and formed of a hard plate, and having a handle for holding a user on one side; And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표면에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hloe)을 가지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And an inner tra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the inner tray having a hole (hlo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ass. tra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인상재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tray does not have a hole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pass.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is engageable and detachable from an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과 측면은 0.5mm~5.0mm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and side surface have a thickness within a range of 0.5 mm to 5.0 mm.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밀착되는 외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n outer surfa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측부는 상단에 상기 내부 트레이 상단을 지지하도록 안쪽으로 돌출된 제1 둔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tray has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forming the inner space, and the side portion has a first barrier projecting inward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inner tray at an upper end thereof. Tray.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측면은 상단에 상기 둔턱에 걸리도록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시밍부(seaming portion)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7. The inner tray of claim 6,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the side tray has a first seaming portion formed to be bent inwardly so as to be caught by the barrier at an upper end thereof. Impression tray.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 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ap retaining portion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outer tray and the inner tray.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인상재가 부착되지 않는 표면층을 가지고, 상기 내부 트레이는 인상재에 부착되는 표면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2.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 wherein said outer tray has a surface layer to which said impression material is not attached, and said inner tray has a surface layer attached to said impression material.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 상기 내부 트레이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ans capable of separating and coupling the inner tray to an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외부 트레이와 상기 내부 트레이 상단에 걸쳐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11.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0 wherein said fastening means is located across an upper end of said outer tray and said inner tray.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측부 상단에는 상기 삽입된 내부 트레이의 측면를 밀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분리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tray has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forming the inner space, and a separation through hole formed at a top portion of the side portion to push up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ed inner tray is formed. Tray.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외부트레이의 측부와 상단을 감싸는 상단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n upper bent portion surrounding the side and the top of the outer tray.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와 측부가 만나는 내측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The tray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tray has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an inner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meet has a curved shape.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의 측부는 상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둔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14.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3 wherein the side of the outer tray has a second barrier protruding outwardly at the top.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의 상단굴곡부는 상기 둔턱에 걸리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시밍부(seaming portion)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inner tray has a second seaming portion formed to be bent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so as to be caught by the barrier.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내부 트레이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astening means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inner tray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ray is installed.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돌출관통부를 관통한 돌출부에 결합되는 체결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protrusion projecting to the outside on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plate, the outer tray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can penetrate, the fastening means is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clip coupled to the projecting portion penetrating the projecting through.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형상 둘레에는 상기 체결클립이 결합되는 홈으로 형성된 돌출부넥(neck)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19.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protrus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rotrusion neck is formed around a groove of the cylindrical shape, the groove having the coupling clip coupled thereto.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부체결구멍을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체결구멍에 대응하는 외부체결구멍을 가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내부체결구멍과 외부체결구멍을 관통하는 체결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inner tray has an inner fastening hole in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ft plate, the outer tray has an outer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inner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means is Dental tray for impre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rod penetrating the inner fastening hole and the outer fastening hole.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끝단에 돌출헤드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관통부는 상기 돌출헤드가 관통하는 돌출헤드관통부와, 상기 돌출헤드관통부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돌출헤드관통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돌출헤드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plate, the outer tray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can penetrate, the protrusion end A protruding head having a protruding head,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penetrating portion comprises a protruding head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head penetrates, and a protruding head coupling portion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protruding head penetr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rotruding head penetrating portion. Impression tray.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반구형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볼록부가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를 내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plate, the outer tray has a concave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that can accommodate the convex portion. A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연질 판재의 측면과 바닥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부관통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끝단에 형성된 돌출헤드와, 상기 돌출헤드로부터 상기 돌출부 내부에 형성된 이격부와, 상기 돌출헤드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출부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트레이 외면에 지지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y one or more of th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plate, the outer tray has a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can penetrate, the protrusion end 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protrusion head, a spaced part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from the protrusion head,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rotrusion head to penetrate the protrusion part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ray. .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측면은 상단에 안쪽으로 돌출되어서 안상재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the side surface protrudes inwardly at an upper end thereof to block the external leakage of the ophthalmic material. .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과 측면 중 하나 이상은 표면에 형성되어서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2. The inner tray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has a protrusion formed on the surface to attach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from the surface.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larger diameter farther.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과 측면 중 하나 이상은 표면에 형성되어서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은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2. The inner tray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has a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is attached.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larger diameter farther.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부는 임플란트핀이 관통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tray has a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forming the inner space, and the bottom portion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an implant pin passes.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지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임플란트핀이 관통되는 임플란트관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has an implant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implant pin passes.
  29.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가지고 경질 또는 연질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가지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일면에는 인상재를 부착시키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It has an inner space consisting of a U-shaped cross-section is formed of a hard or soft plate, having a handle for the user's grip on one side, one side forming the inner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or groove is formed to attach the impression material Dental impression tray.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또는 홈은 상기 일면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0.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29 wherein said protrusion or groove has a larger diameter away from the surface of said one surface.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측면이고, 상기 측면의 바깥쪽 일단으로부터 안쪽 타단에는 막대 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의 돌기가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one surface i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forming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ro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other end direction from the one end from the outer one end of the side A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s not formed to the inner other end.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돌기공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2.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31 wherein some of said plurality of protrusions have protrusion blanks that are not formed to said inner other end.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돌기 중 일부는 상기 안쪽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돌기공백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2.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31 wherein some of said plurality of protrusions have protrusion blank grooves that are not formed to said inner other end.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측면이고, 상기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위치인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0.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one surface i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forming the inner space, and a position recogni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surface.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의 외부 측면에 파지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ray.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손잡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된 안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6.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35, wherein the outer tray has a seating groove open to receive the grippe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be seated on the handle.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파지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7.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36 wherein the seating groove has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gripping portion.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트레이는 상기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6.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35 wherein said outer tray is molded and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said handle.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파지부가 형성된 측면 안쪽 상부에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36.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35, wherein the inner tray has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 in which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40.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 각각이, It consists of the upper and lower trays, each of the upper and lower trays,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기저판; 및A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상기 기저판의 윗면에 돌출 형성되는 치아테두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A dental borde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Consisting of,
    상기 상악트레이의 기저판 아랫면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기저판 아랫면이 서로 등 지도록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세트를 이루며, 상기 상악트레이의 관통공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관통공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결합시에 상기 상악트레이의 관통공은 상기 하악트레이를 이루는 기저판의 막혀있는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악트레이의 관통공은 상기 상악트레이를 이루는 기저판의 막혀있는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The maxillary tray and the mandibular tray are detachably coupled to form a set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tra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tray of the mandible tra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hrough holes of the maxillary tray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mandible tray are alternately disposed. When the coupling,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tray is located in the blocked portion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lower tray,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tray is located in the blocked portion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upper tray Impression tray.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상기 기저판의 윗면에서 아랫면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41.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40 wherein said through hole is formed to widen from an upper surface of said base plate toward a lower surface.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둘러싼 형태로 상기 기저판의 아랫면에 하부측면유출방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 끝단은 상기 하악트레이의 기저판에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혀있는 부위에 닿고, 인상재가 다른 곳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 끝단은 상기 상악트레이의 기저판에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막혀있는 부위에 닿은 상태로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41. The method of claim 40, wherein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ortion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form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he end of the lower side outflow prevention portion of the upper tray is blocked is not formed through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tray The upper end of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of the lower tray is in contact with the block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is not formed through holes in the base tray of the upper tray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other places.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made.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외측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외측이 서로 면접(surface contac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43.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42 wherei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of the lower tray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입구가 상기 관통공보다 커서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가 상기 하부측면유출방지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43.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42, wherein an inlet of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is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so that an edge of the through hole protrudes into the lower side spill prevention portion to form a locking jaw.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테두리의 안쪽 면에 세로로 세워진 돌출바가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 중 일부는 상기 치아테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바 중 상기 관통공 상에 위치하는 돌출바는 밑단이 상기 관통공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41. The method of claim 40,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 bars vertically er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al rim is installed side by side, som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djacent to the dental rim, the through hole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 bars Protruding bar located on the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의 결합이 제위치에서 일어나도록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결합유도부가 상기 상악트레이의 기저판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기저판 중 적어도 하는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41. The method of claim 40, wherein the coupl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upling so that the coupling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occurs in plac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base plate of the upper tray and the base plate of the lower tray. Dental impression tray.
  47.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이 상악과 하악의 자연스러운 교합평면(curve of spee)의 형태를 따라서 커브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41.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40 wherein said base plate is curved along the shape of the natural occlusion of the upper and lower jaw.
  4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테두리의 옆쪽 끝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teral end of the dental rim has a lower height than other portions.
  49.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 각각이, It consists of the upper and lower trays, each of the upper and lower trays,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기저판; 및A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상기 기저판의 윗면에 돌출 형성되는 치아테두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A dental border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Consisting of,
    상기 상악트레이의 아랫면과 상기 하악트레이의 기저판 아랫면이 서로 등지도록 상기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세트를 이루며, 상기 기저판의 윗면에는 인상재가 잘 달라붙을 수 있는 본딩물질이나 부직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detachably combined to form a set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tray are back to each other, and a bonding material or a nonwoven fabric to which the impression material can easily adhe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50.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The guide tray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implanted when installed in the tooth portion of the oral cavity, the guide markers are formed to represent the position coordinates in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implanted.
  51.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표식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트레이; 및A guide tra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determine a position at which an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installed in a tooth portion of the oral cavity, and having a guide marker formed to represent a position coordinate at which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nd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치아부에 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의해서 표현되는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곳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표식부에 매칭되는 관통위치 표식부가 형성되는 인상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In order to imitate the site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the implant fixture is installed to be snapped to the tooth part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guide tray,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 represented by the guide mark part. An impression tray in which a through position marker is formed to match the guide marker;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 트레이는 외부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로 구분되고,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52.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51, wherein the impression tray is divided into an outer tray and an inner tray, and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tray to hold the impression material so as not to fall off.
  53. 구강의 치아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 트레이의 역할을 겸하는 가이드 트레이; 및A guide tra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rving as an outer tray so as to determine a position at which an implant fixture is placed when installed in a dental part of the oral cavity; And
    상기 가이드 트레이를 통하여 확인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함께 관통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트레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트레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An inner tray installed inside the guide tray to form a through hole with the guide tray with respect to an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identified through the guide tray; By being made, including
    상기 가이드 트레이와 내부 트레이가 한 몸체로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부위를 본뜨는 인상 트레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And the guide tray and the inner tray serve as impression trays imitating a portion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as a body.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에는 인상재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55.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53 wherein said inner tray is provid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said impression material so as not to fall off.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55.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54 wherein said inner tray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위치좌표를 표현하기 위한 가이드 표식부가 상기 가이드 트레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55.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53, wherein a guide mark portion for expressing the position coordinate where the implant fixture is placed is formed in the guide tray.
  57. 바닥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 및A tray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bottom thereof; And
    상기 개방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바닥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A bottom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stalled to block the opening; Dental impression tra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59.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57 wherein said bottom member is made of vinyl material.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의 바닥 위부분에 인상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몸체에 인상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는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58. The method of claim 57, wherein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tray body so that the impression material is receiv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body,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Dental impression tray.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캐치부가 좌우 양옆 및 윗부분은 막히고 아랫부분은 개방되는 오목홈 형상을 하도록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60.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59, wherein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is formed inside a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accommodation portion so as to have a concave groove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part are block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캐치부가 상기 오목홈 형상으로 옆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측벽을 의미하는 캐치부 측벽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61.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60, wherein a plurality of said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s are formed laterally in said concave groove shape, and side walls of the catch portion, which mean side walls of said concave groove, have a square cross section.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 측벽이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62.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61, wherei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ha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that becomes thinner toward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 측벽이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측벽에서 들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63. 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61, wherein the catch portion side wall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side wall of the impression material container.
  6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 측벽이 상기 인상재 수용부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62.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61 wherein the catch side wall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material receiving portion.
  65.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 바닥 각각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의 개방부 또는 외부 트레이의 개방부를 막도록 투명한 재질의 바닥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Including an inner tray and an outer tray, an opening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tray and the outer tray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member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s installed to block the opening of the inner tray or the opening of the outer tray. Dental impression tray.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가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66.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65 wherein said bottom member is made of vinyl material.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에 인상재를 붙들기 위한 인상재 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 66. The dental impression tray of claim 65 wherein an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for hold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formed in the inner tray.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재 캐치부가 상기 내부 트레이의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인상용 트레이.The dental impression tray according to claim 67, wherein the impression material catch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inner tray.
PCT/KR2015/005358 2014-05-28 2015-05-28 Dental impression tray WO2015183012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175 2014-05-28
KR1020140064175A KR20150136770A (en) 2014-05-28 2014-05-28 Dental impression tray
KR10-2014-0082630 2014-07-02
KR1020140082630A KR20160004128A (en) 2014-07-02 2014-07-02 Dental impression tray
KR1020140150546A KR20160051105A (en) 2014-10-31 2014-10-31 Bite tray for use in taking impression of upper and lower oral status at a time
KR10-2014-0150546 2014-10-31
KR10-2014-0153157 2014-11-05
KR1020140153157A KR20160053701A (en) 2014-11-05 2014-11-05 Dental impression tray
KR1020150069922A KR20160136133A (en) 2015-05-19 2015-05-19 Tray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 and transparent guide tray used therefor
KR10-2015-0069922 2015-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3012A1 true WO2015183012A1 (en) 2015-12-03

Family

ID=5469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5358 WO2015183012A1 (en) 2014-05-28 2015-05-28 Dental impression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183012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54A (en) * 2017-11-28 2019-06-05 이형우 Adjustable pattern resin kit for attentation for implantant
KR20200144009A (en) * 2019-06-17 2020-12-28 (주)지니덴탈 Dental impression tray
CN113226217A (en) * 2018-12-26 2021-08-06 林松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preliminary guide device and guide tray for producing such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711A (en) * 1974-04-18 1975-06-24 William F Burns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
US5551872A (en) * 1994-09-30 1996-09-03 Mena; Raul Dental impression device
US6302690B1 (en) * 1999-09-08 2001-10-16 Espe Dental Ag Dental impression tray
US20060063124A1 (en) * 2002-10-28 2006-03-23 Marc-Antoine Barraya Impression tray set
KR20080062451A (en) * 2006-12-29 2008-07-03 박태순 Tooth impression tray unit
US20080286714A1 (en) * 2004-05-05 2008-11-20 Klaus Haselhuhn Impression Tray
KR20110029456A (en) * 2009-09-15 2011-03-23 (주)우리메카 Separable tooth impression tray
US20130224680A1 (en) * 2010-09-29 2013-08-29 Triodent Holdings Limited Reusable dental impression tray
KR101391031B1 (en) * 2012-07-04 2014-04-30 최홍철 Tooth impression tra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711A (en) * 1974-04-18 1975-06-24 William F Burns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
US5551872A (en) * 1994-09-30 1996-09-03 Mena; Raul Dental impression device
US6302690B1 (en) * 1999-09-08 2001-10-16 Espe Dental Ag Dental impression tray
US20060063124A1 (en) * 2002-10-28 2006-03-23 Marc-Antoine Barraya Impression tray set
US20080286714A1 (en) * 2004-05-05 2008-11-20 Klaus Haselhuhn Impression Tray
KR20080062451A (en) * 2006-12-29 2008-07-03 박태순 Tooth impression tray unit
KR20110029456A (en) * 2009-09-15 2011-03-23 (주)우리메카 Separable tooth impression tray
US20130224680A1 (en) * 2010-09-29 2013-08-29 Triodent Holdings Limited Reusable dental impression tray
KR101391031B1 (en) * 2012-07-04 2014-04-30 최홍철 Tooth impression tra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54A (en) * 2017-11-28 2019-06-05 이형우 Adjustable pattern resin kit for attentation for implantant
KR102032029B1 (en) 2017-11-28 2019-11-08 이형우 Adjustable pattern resin kit for attentation for implantant
CN113226217A (en) * 2018-12-26 2021-08-06 林松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preliminary guide device and guide tray for producing such a guide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dental implant
KR20200144009A (en) * 2019-06-17 2020-12-28 (주)지니덴탈 Dental impression tray
KR102213222B1 (en) * 2019-06-17 2021-02-05 (주)지니덴탈 Dental impression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3012A1 (en) Dental impression tray
WO2021206297A1 (en) External electric gear double-locking ratchet-type wire grip for indirect live line, and indirect live line construction method for sagging adjustment, tensioning work, and suspension insulator replacement using same
WO2015020293A1 (en) Temporary dental apparatus to be bonded to the teeth,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51021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at using mobile device
WO2010068070A2 (en) Two-sided razor
WO2021020765A1 (en) Thrombus removing device and thrombus removing method using same
DE60126019D1 (en) Device for patient-specific adaptation of a corneal correction
WO2018143487A1 (en) Male urinary incontinence prevention device
WO2021091228A1 (en) Helmet front cover, helmet shell, and helmet comprising same
WO2013066079A1 (en) Anastomotic structure for blood vessels using a self-expandable material or structure, and anastomosis method for blood vessels using same
WO2019164106A1 (en) Hand-wear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1071065A1 (en) Hair dryer
WO2021071061A2 (en) Hair dryer
WO2010044547A4 (en) Apparatus for collecting pet excrement
WO2022181884A1 (en) Strip for remedying ingrown nail
WO2014123359A2 (en) Nerve block catheter
WO2012150799A2 (en) Method for connecting flow-path of pump and tines assembly, and tines assembly and hair dyeing device using same
WO2021071348A1 (en)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same coupled thereto
WO2021071064A2 (en) Method for controlling hair dryer
WO2022244958A1 (en) Easily removable medical mouth gag and suction apparatus
WO2016085228A1 (en) Instrument for band coupling between spinous processes
WO2015156433A1 (en) Podiatric brace having improved support performance and wearing comfort
WO2015083897A1 (en) Joint protector
WO2013103223A1 (en) Shirt, clothing, bag, trousers, gloves and hat
WO2021162151A1 (en) Electric ke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003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003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