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1077A1 - Stent module for removing blood clots - Google Patents

Stent module for removing blood clo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1077A1
WO2014081077A1 PCT/KR2013/000409 KR2013000409W WO2014081077A1 WO 2014081077 A1 WO2014081077 A1 WO 2014081077A1 KR 2013000409 W KR2013000409 W KR 2013000409W WO 2014081077 A1 WO2014081077 A1 WO 20140810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ent
mesh
thrombus
blood vessel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409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이종혁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40810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10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 stent module comprises a stent, a push wire and an expandable guiding catheter. The stent has a mesh unit connected so as to enable all of proximal markers and distal markers at both ends to close, and a middle part thereof has a low number of strut forms. The push wire pushes the stent toward a blood vessel at which blood clots are located. The expandable guiding catheter, in an expanded state after entering the blood vessel, moves a micro-catheter, which guides the stent and the push wire, into the blood vessel, or retrieves the stent collecting blood clots, and the push wire at the outside of the blood vessel.

Description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Thrombosis Stent Module
본 발명은 스텐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ombus removal stent module with improved thrombus removal efficiency.
일반적으로 뇌동맥, 말초동맥, 심부정맥, 폐동맥 등이 혈전색전에 의해 막힌 경우 이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이용하여 혈전용해치료를 진행하거나, 기계적으로 혈전 제거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활용된다. In general, if the cerebral artery, peripheral artery, deep vein, pulmonary artery, etc. are blocked by thromboembolism, thrombolytic treatment using drugs or mechanical thrombolysis is used.
특히, 기계적 혈전 제거술의 경우, 다양한 혈전제거 기구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혈전제거 기구들 중, 도 1에 도시된 솔리테르 스텐트(solitaire stent)가 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echanical thrombectomy, various thrombus removal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and among the thrombus removal mechanisms developed to date, the solitaire stent shown in FIG. 1 is known to be excellent in terms of effectiveness.
상기 솔리테르 스텐트(10)는 미세도관 또는 도관(11)을 따라 스텐트를 푸쉬하는 푸쉬 와이어(12), 및 상기 푸쉬 와이어(12) 끝에 연결되어 혈전이 위치한 곳에서 혈전을 제거하는 메쉬부(1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메쉬부(14)는 인접점(proximal marker)(13)과 원접점(distal markers)(15) 사이에 여러 가닥의 다발들이 서로 얽히도록 형성되어, 혈전의 제거에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The soliter stent 10 is a push wire 12 for pushing the stent along the micro-conduit or conduit 11, and the mesh portion 14 connected to the push wire 12 end to remove the blood clot at the place where the thrombus is located. ). In this case, the mesh portion 14 is formed between the proximal marker 13 and the distal markers 15 so that bundles of strands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thereby making it easy to remove the thrombus. Have
그러나, 상기 메쉬부(14)는 하나의 인접점(13)과 다수의 원접점(15)을 포함하며, 상기 원접점(15)의 경우 복수개가 끝단이 개방(open)된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솔리테르 스텐트(10)의 경우, 혈전제거시 상기 원접점(15)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혈전은 스텐트 밖에 위치하게 되므로 혈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아 혈전 제거술을 여러 번 시도해야 하거나 혈전 제거 도중 혈전이 스텐트와 분리 되어 원위부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혈전 포착 후 상기 메쉬부(14) 및 상기 푸쉬 와이어(12)를 상기 도관 또는 미세도관(11)과 함께 상기 유도도관(16)으로 인입하는 경우, 상기 유도도관(16)의 입구가 혈전이 포착된 스텐트 보다 좁기 때문에 혈전이 제거되지 않고 스텐트에서 분리되어 혈관 원위부로 이동하여 새로운 경색을 야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However, the mesh unit 14 includes one adjacent point 13 and a plurality of circular contact points 15. In the case of the circular contact point 15, a plurality of mesh points 14 are disposed in an open shape. Thus, in the case of the soliter stent 10, when the thrombus is removed, the contact point 15 is kept open and the thrombus is located outside the stent, so the thrombus is not effectively removed, so the thrombus removal procedure must be attempted several times or thrombus During removal, the thrombus separates from the stent and causes distal movement. In addition, when the mesh portion 14 and the push wire 12 are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conduit 16 together with the conduit or the microconduit 11 after the thrombus is captured, the inlet of the induction conduit 16 becomes a thrombus. Because it is narrower than this captured stent, blood clots are often not removed, but detach from the stent and move distal to the vessel, causing new infarction.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전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혈전 제거 도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감소시킨 스텐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spe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modu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lood clot removal and reduce the complications that can occur during blood clot removal.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모듈은 스텐트, 푸쉬 와이어 및 확장형 유도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스텐트는 양 끝단의 인접점과 원접점이 모두 폐쇄되도록 연결된 메쉬부를 가진다. 상기 푸쉬 와이어는 혈전이 위치한 혈관을 향해 상기 스텐트를 푸쉬한다.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관 입구에 진입 후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스텐트 및 푸쉬 와이어를 유도한 미세도관을 혈관 내로 진출시키거나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 및 푸쉬 와이어를 혈관 외부로 회수한다. The st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nt, a push wire and an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The stent has a mesh portion connected to close both the adjacent point and the original contact point at both ends. The push wire pushes the stent toward the blood vessel where the thrombus is located.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enters the vessel and expands the microconduit inducing the stent and the push wire into the vessel or recovers the stent and the push wire from which the thrombus is taken out of the vess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원접점과 연결된 제1 메쉬부, 상기 제1 메쉬부와 연결된 제2 메쉬부, 및 상기 제2 메쉬부 및 상기 인접점과 연결된 제3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tent may include a first mesh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a second mesh part connected to the first mesh part, and a third mesh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mesh part and the adjacent point.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은 각각 하나이며,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으로부터 분기하여 다발을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ne contact point and the adjacent point is each one, each of the first and third mesh portion may form a bundle by branching from the contact point and the adjacent poi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메쉬부보다 많은 수의 그물망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third mesh portions may include a greater number of meshes than the second mesh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쉬부는 제3 메쉬부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mesh portion may be longer than the third mesh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푸쉬 와이어와 연결되어 혈전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 후, 상기 푸쉬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도관이 후퇴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혈전을 채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nt is connected to the push wire to move to the place where the thrombus is locat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mesh portion is retracted as the micro-conduit withdraws while the push wire is fixed It can be extended radially to collect the thrombi.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텐트에 의해 채취된 혈전은, 혈관을 따라 회수되면서 상기 원접점 및 상기 제1 메쉬부들에 의해 상기 스텐트 외부로 남겨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hrombus collected by the stent may be blocked from being left outside the stent by the far point and the first mesh portions while being recovered along the blood vessel.
일 실시예에서, 확장형 유도도관은,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may include an entry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try portion and extending radially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blood vess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의 근위단과 원위단은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표시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확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extension are marked with a radiopaque material, and the extension can be extended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의 확장된 반경은 상기 스텐트가 확장된 반경보다 클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panded radius of the extension may be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stent extension.
일 실시예에서,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는 확장된 상태의 상기 확장부로 인입된 후, 반경이 줄어들면서 상기 진입부로 회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nt from which the thrombus is taken may be drawn into the expanded portion in an expanded state, and then recovered into the entry portion with decreasing radiu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가 혈관 외부로 회수된 경우, 확장되었던 반경이 축소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may be reduced in the radius of expansion when the stent from which the thrombus is collected is recovered outside the blood vess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텐트의 제1 메쉬부가 하나의 원접점으로부터 분기되어 폐쇄된 형태의 다발 구조를 가지므로, 혈전을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가시켜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mesh portion of the stent has a bundle structure closed by branching from a single contact point, the thrombus removal rate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thrombus.
또한, 제2 메쉬부의 스트럿은 상기 제1 메쉬부의 그물망보다 적게 형성함으로써, 혈관 내 혈전을 스텐트 내로 포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t of the second mesh portion is formed less than the mesh of the first mesh portion, the blood vessels within the blood vessel can be easily captured into the stent.
또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므로, 혈전을 채취한 스텐트가 반경이 좁은 진입부로 직접 회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혈전이 혈관에 남을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남은 혈전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텐트가 상기 확장된 진입부로 회수되면서 일부 혈전이 남겨진다고 해도 혈전은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확장부에 잔류하므로, 혈관 원위부로 이동 없이 자연적으로 혹은 주사기를 통해 음압을 걸어 용이하게 배출 혹은 제거 할 수 있다. 이 같은 자연적 배출이 가능한 이유는 혈관 내의 압력이 외부 대기 압력보다 높기 때문이다. In addition, since the induction conduit expands radially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blood vessel,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tent from which the thrombus is collected is directly recovered to a narrow radius entry portion, the possibility of thrombus remaining in the blood vessel is minimized to reduce the thrombus removal rate. It can improve and prevent complications caused by the migration of remaining thrombi. In particular, even though some blood clots are left as the stent is recovered to the expanded entry part, the blood clots remain in the extension part of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so that they can be easily discharged or removed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naturally or through a syringe without moving to the distal end of the vessel. Can be. This natural discharge is possible because the pressure in the vessels is higher than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솔리테르 스텐트(solitaire stent)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itaire st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의 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도 3b는 도 2의 II-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도 4a는 도 2의 확장형 유도도관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of FIG. 2 is not expanded.
도 4b는 도 2의 확장형 유도도관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anded state of the induction conduit of FIG. 2.
도 5a내지 도 5f들은 도 2의 스텐트 모듈을 이용한 혈전 제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5A to 5F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blood clot removal method using the stent module of FIG. 2.
*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the sign
20 : 스텐트 모듈 30 : 스텐트20: stent module 30: stent
36 : 푸쉬 와이어 50 : 확장형 유도도관36: push wire 50: expanded induction conduit
52, 53 : 확장부52, 53: extens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II-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20)은 스텐트(30), 푸쉬 와이어(36), 미세도관(40) 및 확장형 유도도관(5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스텐트 모듈(20)은 상기 스텐트(30)가 혈전이 존재하는 곳에 위치하는, 즉 혈전을 채취하는 순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스텐트 모듈(20)의 전반적인 동작은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stent modul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ent 30, a push wire 36, a fine conduit 40, and an expanded induction conduit 50. The stent module 20 shown in FIG. 2 illustrates a state where the stent 30 is located where blood clots are present, that is, at the moment of collecting blood clots,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ent module 20 is illustrated in FIG. 5A.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ure 5f.
상기 스텐트(30)는 양 끝단인 원접점(31) 및 인접점(32)을 가지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을 갖는 메쉬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접점(31)은 상기 푸쉬 와이어(36)의 끝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로 상기 제1 메쉬부(33)가 모아지는 접점으로 정의되며, 상기 인접점(32)은 상기 푸쉬 와이어(36)의 끝단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로 상기 제3 메쉬부(35)가 펼쳐지기 시작하는 접점으로 정의된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스텐트(30)와 푸쉬 와이어(36)는 미세도관(40)의 내부를 따라 혈전이 존재하는 곳으로 이동한 후, 상기 미세도관(40)이 후퇴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도 2에 도시된 형상으로 배열된다. The stent 30 includes a mesh portion having first and second mesh portions 33, 34, and 35 having a circular contact point 31 and an adjacent point 32 at both ends. The first contact point 31 is defined as a contact point where the first mesh part 33 is collected at a position furthest from the end of the push wire 36, and the adjacent point 32 is a contact point of the push wire 36. The third mesh part 35 is defined as a contact point at which the third mesh part 35 starts to unfold to the position closest to the e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thrombus exists along the inside of the micro-conduit 40, the micro-conduit 40 is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as it retreats It is arranged in the shape shown in 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접점(31) 및 상기 인접점(32) 모두 하나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텐트에서는 상기 인접점(13)은 하나이지만 상기 원접점(15)이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스텐트는 원접점(15) 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original contact point 31 and the adjacent point 32 are one. That is, in the conventional stent shown in FIG. 1, although the adjacent point 13 is one, a plurality of the contact points 15 are formed, and the stent has a net structure in which the part of the contact point 15 is open. .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접점(32) 뿐만 아니라, 상기 원접점(31)도 하나로 형성되므로, 상기 스텐트는 양 끝단이 모두 폐쇄된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메쉬부(33)는 상기 하나의 원접점(31)으로부터 그물망 형태로 펼쳐지며, 상기 제3 메쉬부(35)도 상기 하나의 인접점(32)으로부터 그물망 형태로 펼쳐진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adjacent point 32, but also the original contact point 31 is formed as one, the stent has a network structure of both ends closed form. That is, the first mesh part 33 is unfolded in the form of a net from the one contact point 31, and the third mesh part 35 is also unfolded in the form of a net from the one adjacent point 32.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30)에서는, 메쉬부의 양 끝단에 해당되는 제1 및 제3 메쉬부들(33, 35)은,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33, 35)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메쉬부(34)보다 더 촘촘한 그물망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33, 35)이 상기 제2 메쉬부(34)보다 많은 수의 그물망을 갖는다.Further, in the sten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third mesh portions 33 and 35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mesh portion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mesh portions 33 and 35. It has a denser net form than the second mesh portion 34 to be. That is, the first and third mesh portions 33 and 35 have a larger number of meshes than the second mesh portion 34.
이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메쉬부(33)는 예를 들어, 상기 원접점(31)으로부터 6개로 분기되어 그물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메쉬부(34)는 상기 제1 메쉬부(33)의 두 개의 그물이 하나로 합쳐지는 접점(36)을 따라 연장되는 세 가닥의 스트럿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메쉬부(33)는 8개로 분기되어 그물망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메쉬부(34)는 네 가닥의 스트럿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단면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메쉬부(34)에서 합쳐진 세 가닥 또는 네 가닥의 그물은 상기 제3 메쉬부(35)에서 다시 6개 또는 8개의 그물망을 형성한 후 상기 인접점(32)으로 모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S. 3A and 3B, for example, the first mesh part 33 may be branched into six from the origin contact point 31 to form a mesh, and the second mesh part ( 34 may form three strands of struts extending along the contact point 36 where the two nets of the first mesh portion 33 merge into one.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mesh portion 33 may be divided into eight to form a net, and the second mesh portion 34 may form four strands of struts.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the three strands or four strands of the net combined in the second mesh portion 34 is formed in the third mesh portion 35 again six or eight meshes after the adjacent point ( 32)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is collected.
한편,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의 그물망이나 스트럿의 개수는 제거되는 혈전의 크기 및 혈관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number of meshes or stru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esh parts 33, 34, and 35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thrombus to be removed and the thickness of the blood vessel.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나의 원접점(31)으로부터 제1 메쉬부(33)가 분기되며, 상기 제1 메쉬부(33)가 상기 제2 메쉬부(34)보다 촘촘한 그물망을 형성하므로, 상기 스텐트(30)가 혈전을 채취한 후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 방향으로 회수되는 경우 상기 채취된 혈전이 상기 원접점(31) 및 상기 제1 메쉬부(33)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고 강하게 채취되므로, 상기 채취된 혈전이 혈관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esh portion 33 branches from the one contact point 31, and the first mesh portion 33 forms a finer net than the second mesh portion 34. Therefore, when the stent 30 is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after collecting the thrombus, the collected thrombus is more stable by the far contact point 31 and the first mesh portion 33. Since the sample is strongly collected, the collected blood clot can be minimized from remaining in the blood vessel.
한편, 상기 제1 메쉬부(33)는 제3 메쉬부(35)보다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즉, 메쉬 구간을 길게 형성하여 충분한 혈전이 포획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mesh part 33 may have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third mesh part 35, that is, a long mesh section may be formed to capture sufficient blood clots.
또한, 제2 메쉬부(34)는 그물망을 형성하지 않고 스트럿(strut)이 3~4개로 이루어져 그 개수가 제1 메쉬부 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혈관 내 혈전이 스텐트 내부에 포착되기 쉽게 한다. 나아가, 상기 스텐트(30)의 회수시 상기 제2 메쉬부(34)에 의한 혈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mesh portion 34 is composed of three to four struts (struts) without forming a net and the number thereof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esh portion, so that blood clots in the blood vessels are easily captured in the stent. In addition, damage to the blood vessel caused by the second mesh part 34 may be minimized when the stent 30 is recovered.
상기 스텐트(30)와 스텐트를 연결하고 있는 푸쉬 와이어(36)는 상기 미세도관(40)을 통해 혈관으로 진입한 후, 최종적으로 혈전이 위치하는 곳까지, 미세도관(40)을 따라 이동한다. 이 후, 상기 미세도관(40)은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 방향으로 후퇴하고, 상기 스텐트(30)와 푸쉬 와이어(36)는 노출되면서 확장되어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혈전이 존재하는 혈관 내부에 배치된다.The push wire 36 connecting the stent 30 and the stent enters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microconduit 40 and then moves along the microconduit 40 to the place where the thrombus is finally located. Thereafter, the micro-conduit 40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50,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is exposed while expanding the blood vessel in which the thrombus in the form shown in FIG. It is placed inside.
이와 같이, 상기 스텐트(30)와 푸쉬 와이어(36)는 미세도관(40)의 가이드에 따라 혈전이 존재하는 목표혈관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혈전의 제거가 필요한 혈관은 반경이 매우 작은 소혈관이므로 혈전이 위치한 곳까지 상기 스텐트(30)와 푸쉬와이어(36)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의 혈관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스텐트(30)는 혈전 제거용으로 혈관을 따라 확장 상태로 전진하는 경우 정상 혈관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미세 도관(40)을 통해 혈전이 위치한 곳까지 상기 스텐트(30)를 이동시켜, 혈관 및 스텐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역으로 스텐트가 확장상태인 경우라도 푸쉬와이어를 당겨 스텐트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혈관 단면적에 따라 스텐트가 일정정도 변형이 되므로 혈관손상이 거의 없게 된다.As such,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are positioned in the target blood vessel in which the blood clot is present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micro-conduit 40. In particular, the blood vessels needing to remove the thrombus are small vessels of very small radius, so that the stent 30 and the pushwire 36 may move along the vessels of a complicated structure to the place where the thrombus is located. However, the stent 30 may cause damage to the normal blood vessel when the stent 30 is advanced along the blood vessel to remove the blood clot, and thus, the stent 30 may be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blood clot is located through the micro-conduit 40. Can be moved to prevent damage to blood vessels and stents.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stent is expanded, the pull wire can be pulled to recover the stent, so that the stent is deformed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ood vessel.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은 진입부(51) 및 확장부(52, 53)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부(51)는 삽입관(55)을 통해 혈관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미세도관과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가 상기 혈관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텐트(30)에 의해 혈전이 제거된 경우,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 및 상기 미세도관(40)의 회수를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includes an entry portion 51 and expansion portions 52, 53. The entry part 51 enters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insertion tube 55 to form a guide through which the microconduit,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may enter the blood vessel. In addition, when blood clots are removed by the stent 30, a passage for collecting the stent 30, the push wire 36, and the microconduit 40 is formed.
한편, 일반적으로 혈전의 제거가 필요한 혈관은 소혈관과 같이 반경이 매우 작은 혈관으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은 혈전이 위치한 곳까지 진입할 수는 없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반경을 갖는 혈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으로부터 상기 혈전이 위치한 혈관까지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도관(40)을 통해 상기 스텐트(30) 및 푸쉬 와이어(36)를 가이드한다. On the other hand, blood vessels that require removal of blood clots are generally small blood vessels such as small blood vessels, and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50 cannot enter a blood clot, and is located in a blood vessel having a relatively large radius. Let's do it. In addition,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are guided from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50 to the blood vessel in which the thrombus is located through the microconduit 40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이 확장부(52, 53)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includes extensions 52 and 53,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at the same time.
도 4a는 도 2의 확장부가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확장부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of FIG. 2 is not expanded. 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anded state of FIG. 2.
즉,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이 혈관에 진입되는 경우, 상기 확장부(52)는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진입부(51)와 동일한 크기의 반경을 갖는다.That is, referring to FIGS. 2 and 4A, when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enters a blood vessel, the expansion part 52 remains unexpanded and has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ntry part 51. Have a radius.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54)를 따라 혈관에 진입한 후, 상기 가이드 와이어(54)를 따라 혈전이 위치한 혈관의 근위부 목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확장부(53)는 팽창한다. 팽창에 사용되는 방법은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확장법을 사용한다. 2 and 4B, when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enters the blood vessel along the guide wire 54 and moves to the proximal target position of the blood vessel where the blood clot is located along the guide wire 54. The expansion 53 is expanded. The method used for inflation uses a balloon catheter expansion method.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52)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부피가 팽창된다. 이 경우,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가 위치한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혈류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반경은 상기 혈관의 반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반경은, 상기 팽창된 스텐트(30)의 반경보다는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가 반경의 축소 없이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텐트(30)의 반경이 축소되지 않으므로 채취된 혈전이 혈관 내에 이탈하거나 잔류할 확률이 최소화된다. Specifically, the expansion portion 52 of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is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to expand the volume. In this case, the radius of the expanded expansion 53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vessel in order to maintain blood flow without damaging the vessel in which the extension of the expanded guide conduit 50 is locat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the expanded extension 53 is slightly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expanded stent 30. Thus, the stent 30 from which the thrombus is collected may be introduced into the expanded expansion part 53 without reducing the radius, and since the radius of the stent 30 is not reduced, the collected thrombus is separated from the blood vessel. Or the probability of remaining is minimized.
한편,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52)는 그 근위부와 원위부를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표시하여 확장부(52)에 대한 풍선확장 중 확장형 유도도관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길이는 상기 스텐트(30)의 길이와 같거나 보다 길어서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가 모두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pansion portion 52 of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the proximal and distal portions are marked with a radiopaque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during expansion of the balloon to the extension (52). The length of the expanded expansion 53 is the same as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tent 30 is that the stent 30 from which the blood clots can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expanded expansion 53 desirable.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팽창된 확장부(53)는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 그리고 상기 미세 도관(40)이 동시에 혈관 외부로 회수된 이후, 혈관 진입부에 위치한 삽입관(55)에 의해 팽창되었던 부피가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와 함께 혈관 외부로 회수된다. The expanded portion 53 of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is the blood vessel entry portion after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and the fine conduit 40 from which blood clots are collected at the same time The volume that has been inflated by the insertion tube 55 located therein is reduced and is recovered to the outside of the blood vessel together with the entry part 51.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는 상기 미세 도관(40)과 함께,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진입부(51)를 통해 외부로 회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텐트(30)의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은 반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로 회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텐트(30)에 의해 채취되었던 혈전도 반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로 회수된다. 그러나, 상기 채취된 혈전은 크기, 종류 및 강도 등이 다양하므로, 상기 스텐트(30)의 메쉬부가 축소되면서 일부가 잘리거나 떨어져 혈관이 아닌 확장형 유도도관의 팽창된 확장부(53)내에 잔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잔류한 혈전은 혈관 내의 압력이 외부 대기압력보다 높으므로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크기가 자연 배출되기 어려운 경우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음압을 걸어주면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그리하여, 혈관 내로 혈전들이 잔류되는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from which blood clots are collected are introduced into the expanded expansion part 53 together with the micro-conduit 40 and then externally through the entry part 51. Is recovered. In this ca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mesh portions 33, 34, and 35 of the stent 30 are recovered to the entry part 51 while the radius thereof is reduced, and thus, the stent 30 may be recovered. The thrombus radius that was collected by the battery is reduced to the entrance part 51. However, since the sampled thrombus varies in size, type, and strength, the mesh portion of the stent 30 may be reduced or partially cut off and remain in the expanded expansion portion 53 of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rather than a blood vessel. have. In this case, the remaining thrombi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pressure in the blood vessel is higher than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and if the size is difficult to naturally discharge, it can be easily removed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using a syringe or the like. Thus, the amount of blood clots remaining in the blood vessel can be minimized.
도 5a내지 도 5f들은 도 2의 스텐트 모듈을 이용한 혈전 제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5A to 5F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blood clot removal method using the stent module of FIG.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유도도관(50)이 진입 혈관(62)의 내부로 진입한 이후에, 혈전(63)이 위치하는 소동맥 등과 같은 반경이 좁은 혈관으로 진입 와이어(41)와 미세도관(40)을 진입시킨다. 이 경우, 혈전(63)이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구조의 혈관을 따라 혈관의 손상 없이 이동해야 하므로, 이에 적합한 진입와이어(41)와 미세도관(40)을 선택해야 한다. 5A and 5B, after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nters the inside of the entry vessel 62, the entry into narrow vessels such as a small artery in which the thrombus 63 is located is performed. The wire 41 and the fine conduit 40 enter. In this case, in order to move to the place where the thrombus 63 is located, it must move along the blood vessel of a very complicated structure without damaging the blood vessel, and thus, an appropriate entry wire 41 and a micro conduit 40 should be selected.
도 5c를 참조하면, 혈전이 위치한 혈관의 원위부까지 상기 미세도관(40)이 위치하면 상기 진입 와이어(41)을 회수하여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를 진입시킬 준비를 한다.Referring to FIG. 5C, when the microconduit 40 is located to the distal portion of the blood vessel in which the thrombus is located, the entry wire 41 is recovered to prepare for entering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를 혈전(63)이 위치한 혈관 부위까지 상기 미세도관(40)의 내부를 따라 전진시켜 스텐트 원접점과 인접점이 사이에 혈전이 위치하도록 조절 후, 상기 미세도관(40)을 진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수하면서 상기 스텐트(30)를 노출시킨다. 상기 노출된 스텐트(30)는 제1 메쉬부(33), 제2 메쉬부(34) 및 제3 메쉬부(35)의 순서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혈전(63)에 위치한다. 이렇게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은 상기 혈전(63)을 포획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D, the stent 30 and the push wire 36 are advanced along the inside of the micro-conduit 40 to the blood vessel region where the thrombus 63 is located so that a thrombus is formed between the stent contact point and the adjacent point. After adjusting to position, the stent 30 is exposed while recovering the micro-conduit 4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ntry direction. The exposed stent 30 is radially inflated in the order of the first mesh portion 33, the second mesh portion 34, and the third mesh portion 35 to be positioned in the thrombus 63. The radially expanded first, second and third mesh portions 33, 34, 35 capture the thrombus 63.
도 5e를 참조하면, 도 5a 과정 이전에 상기 진입 혈관(62) 부근에 배치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52)는 풍선카테터를 사용하여 미리 반경방향으로 팽창(53)시켜 놓는다.Referring to FIG. 5E, the expansion part 52 of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50 disposed near the entry vessel 62 before the process of FIG. 5A is previously inflated 53 in a radial direction using a balloon catheter. .
도 5f를 참조하면, 상기 스텐트(30)는 상기 혈전(63)을 포획한 상태로, 진입방향의 반대방향인 상기 진입 혈관(62) 방향으로 회수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확장 카테터(53)의 내부로 회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텐트(30)가 회수되면서, 상기 혈전(63)은 상대적으로 상기 스텐트(30)의 제1 메쉬부(33)로 모이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메쉬부(33)는 상기 원접점(31)으로부터 분기되는 그물망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혈전(63)이 상기 스텐트(30)의 상기 제1 메쉬부(33)의 외부에 잔류되는 것이 최소화된다.Referring to FIG. 5F, the stent 30 is reco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entry vessel 62 opposite to the entry direction while capturing the thrombus 63, and finally, of the expansion catheter 53. It is recovered internally. In this case, as the stent 30 is recovered, the thrombus 63 is relatively gathered into the first mesh portion 33 of the stent 3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mesh portion 33 is Since the network structure branched from the contact point 31, the thrombus 63 is minimized to remain outside of the first mesh part 33 of the stent 30.
이 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텐트(30)는 메쉬부의 반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채취된 혈전(63)과 함께 상기 진입부(51)를 통해 혈관 외부로 회수된다. 이 때,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혈전들은 상기 팽창된 확장부(53) 내부에 잔류하게 되며, 잔류 혈전은 혈관내부 압력과 외부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주사기 등을 통해 음압을 걸어 강제로 흡인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관 외부로 회수될 때 팽창된 확장부(53)가 삽입관(55)에 의해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와 함께 혈관 외부로 회수되게 된다.Thereafter, although not shown, the stent 30 is recovered outside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entry part 51 together with the collected thrombus 63 while the radius of the mesh part is reduced. At this time, the falling or leaving the thrombus remains in the expanded expansion 53, the residual thrombus is naturally discharg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lood vessel and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or forced to apply a negative pressure through a syringe or the like Aspiration is removed. When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is recovered to the outside of the blood vessel, the expanded portion 53 is reduced by the insertion tube 55 and is recovered out of the blood vessel together with the entry part 51.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20)은 혈전(63)이 스텐트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혈전(63)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고, 스텐트를 이용한 혈전 제거 중 혈관 내로 분리되는 혈전을 최소화하여,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nt modul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ectively remove the blood clot 63 because the blood clot 63 is located inside the stent, and minimize the blood clot separated into blood vessels during blood clot removal using the stent. Th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procedure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텐트의 제1 메쉬부가 하나의 원접점으로부터 분기되어 폐쇄된 형태의 다발 구조를 가지므로, 혈전을 포획 후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가시켜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mesh portion of the stent has a bundle structure closed by branching from one circle contact point, the thrombus removal rate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for capturing and fixing the thrombi. Can be.
또한, 제2 메쉬부의 스트럿을 상기 제1 메쉬부의 그물망보다 적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혈전이 쉽게 스텐트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strut of the second mesh portion less than the mesh of the first mesh portion, the thrombi can be easily located inside the stent.
또한, 확장형 유도도관이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확장부는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므로, 혈전을 채취한 스텐트가 반경이 좁은 진입부로 직접 회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혈전이 혈관에 남을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키고 분리된 혈전이 야기하는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스텐트가 상기 진입부로 회수되면서 남겨지는 혈전은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확장부 내부에 잔류하므로, 잔류 혈전은 혈관내부 압력과 외부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주사기 등을 통해 음압을 걸어 강제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includes an expansion part, and the expansion part of the expansion induction conduit expands radially in the state where the blood vessel enters the blood clo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tent from which the thrombus is collected is directly recovered to a narrow radius entry part. By minimizing the chance of remaining in these vessels, they can improve blood clot clearance and reduce complications caused by isolated blood clots. In particular, since the thrombi left while the stent is recovered to the entry part remains inside the extension part of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the residual thrombus is naturally discharge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lood vessel and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or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a syringe or the like. It can be forcibly removed by suc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모듈은 혈관 등이 혈전에 의해 막힌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기계적 시술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st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for mechanical procedures for removing blood vessels and the like when they are blocked by blood clots.

Claims (12)

  1. 양 끝단의 인접점과 원접점이 모두 폐쇄되도록 연결된 메쉬부를 가지는 스텐트;A stent having a mesh part connected to close both the adjacent point and the original contact point of both ends;
    혈전이 위치한 혈관을 향해 상기 스텐트를 푸쉬(push)하는 푸쉬 와이어; 및A push wire for pushing the stent toward a blood vessel in which a thrombus is located; And
    혈관 입구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쉬 와이어를 유도한 미세도관을 혈관 내로 진출시키거나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쉬 와이어를 혈관 외부로 회수하는 확장형 유도도관을 포함하는 스텐트 모듈. A stent module including an expanded induction conduit for returning the stent and the push wire guided micro-conduit into the vessel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blood vessel inlet, or recovering the stent and the push wire from the blood vessel outside the vessel.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nt,
    상기 원접점과 연결된 제1 메쉬부;A first mesh part connected to the circle contact point;
    상기 제1 메쉬부와 연결된 제2 메쉬부; 및A second mesh part connected to the first mesh part; And
    상기 제2 메쉬부 및 상기 인접점과 연결된 제3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The stent module comprising a second mesh portion and a third mesh portion connected to the adjacent point.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은 각각 하나이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 contact point and the adjacent point each one,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으로부터 분기하여 다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Each of the first and third mesh portions branch from the original contact point and the adjacent point to form a bundle.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메쉬부의 스트럿보다 많은 수의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4. The stent module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third mesh portions comprises a greater number of meshes than the strut of the second mesh portion.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부는 제3 메쉬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The stent module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mesh part has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third mesh part.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푸쉬 와이어와 연결되어 혈전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 후, 상기 푸쉬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도관이 후퇴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혈전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The first, second and third mesh portions of claim 1, wherein the stent is connected to the push wire to move to a place where a blood clot is located, and as the micro-conduit is retracted while the push wire is fixed. The sten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ally extended to collect the thrombus.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에 의해 채취된 혈전은, 혈관을 따라 회수되면서 상기 원접점 및 상기 제1 메쉬부들에 의해 상기 스텐트 외부로 남겨지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The stent module of claim 6, wherein the thrombus collected by the stent is blocked from being left outside of the stent by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first mesh portions while being recovered along the blood vessel.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panded induction conduit,
    진입부; 및Entry; And
    상기 진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A stent module extending from the entry portion, comprising an extension extending radially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blood vessel.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근위단과 원위단은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표시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9. The stent module of claim 8, wherein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extension are marked with a radiopaque material, and the extension extends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ent.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확장된 반경은 상기 스텐트가 확장된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The stent module of claim 8, wherein an expanded radius of the extension is greater than an extended radius of the stent.
  11. 제8항에 있어서,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는 확장된 상태의 상기 확장부로 인입된 후, 반경이 줄어들면서 상기 진입부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The stent module of claim 8, wherein the stent from which the thrombus is taken is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part in an expanded state and then recovered to the entry part with a decrease in radius.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가 상기 진입부로 회수되는 경우, 확장되었던 반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12. The stent module of claim 11, wherein the expandable induction conduit has a radius that has been expanded when the stent from which the thrombus is collected is recovered to the entry portion.
PCT/KR2013/000409 2012-11-26 2013-01-18 Stent module for removing blood clots WO2014081077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676 2012-11-26
KR1020120134676A KR101303612B1 (en) 2012-11-26 2012-11-26 Thrombus retrieving stent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077A1 true WO2014081077A1 (en) 2014-05-30

Family

ID=4945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409 WO2014081077A1 (en) 2012-11-26 2013-01-18 Stent module for removing blood clo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3612B1 (en)
WO (1) WO2014081077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5745A (en) * 2015-02-06 2017-09-26 急速医疗有限公司 The system and method removed for intravascular obturator
CN108095804A (en) * 2018-02-10 2018-06-01 郑州大学第附属医院 A kind of cerebrovascular can the multi-functional inner support loading recycling of transformative and release device
CN108158630A (en) * 2018-02-26 2018-06-15 上海加奇生物科技苏州有限公司 A kind of Intravascular Thrombus catching device
CN109890323A (en) * 2016-10-27 2019-06-14 急速医疗有限公司 Braided silk endoluminal device
CN114191154A (en) * 2022-02-18 2022-03-18 天津市环湖医院 Integrated plug taking support with gradually-changed diame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630B1 (en) 2013-06-30 2014-10-28 안지용 Manual thrombectomy device
KR101635755B1 (en) 2014-10-02 2016-07-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urface modified stent
KR101613269B1 (en) * 2014-11-19 2016-04-2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Delivery apparatus for medical instrument in blood vessel
KR101729398B1 (en) 2015-06-19 2017-04-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tent Device Capable of Voluntary Expansion-Collapse Control for Thrombus Retrieval and Flow Restoration
KR101791148B1 (en) 2016-02-12 2017-10-27 신경민 The thrombus removal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9898B1 (en) 2017-07-06 2019-03-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Thrombus retrieving stent module
KR102125615B1 (en) * 2018-08-28 2020-06-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urgical instrument for stent
KR20210064885A (en) 2019-11-26 2021-06-03 (주)링크옵틱스 Plasma apparatus for hemostasis and removing thromb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263A (en) * 1998-03-11 1999-11-23 Arteria Medical Science L.L.C. Hydraulically actuated dilatation mechanism for vessel dilatation and vascular prosthesis delivery and methods of use
US20030163158A1 (en) * 2000-06-22 2003-08-28 White Geoffrey H.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thromboembolectomies
US20090088832A1 (en) * 2001-12-03 2009-04-02 Xten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variable length stents
JP2009178518A (en) * 2008-02-01 2009-08-13 Nipro Corp Medical tubular body, thrombus capturing member collecting sheath, thrombus collecting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KR20110040187A (en) * 2009-10-13 2011-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chable and retrievable embolic protection device and filter assembly compo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263A (en) * 1998-03-11 1999-11-23 Arteria Medical Science L.L.C. Hydraulically actuated dilatation mechanism for vessel dilatation and vascular prosthesis delivery and methods of use
US20030163158A1 (en) * 2000-06-22 2003-08-28 White Geoffrey H.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thromboembolectomies
US20090088832A1 (en) * 2001-12-03 2009-04-02 Xten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variable length stents
JP2009178518A (en) * 2008-02-01 2009-08-13 Nipro Corp Medical tubular body, thrombus capturing member collecting sheath, thrombus collecting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KR20110040187A (en) * 2009-10-13 2011-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etachable and retrievable embolic protection device and filter assembly composing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5745A (en) * 2015-02-06 2017-09-26 急速医疗有限公司 The system and method removed for intravascular obturator
US20180028209A1 (en) * 2015-02-06 2018-02-01 Rapid Medic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vascular obstruction removal
EP3253306A4 (en) * 2015-02-06 2018-12-12 Rapid Medic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vascular obstruction removal
US11083473B2 (en) 2015-02-06 2021-08-10 Rapid Medic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vascular obstruction removal
US11925368B2 (en) 2015-02-06 2024-03-12 Rapid Medic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vascular obstruction removal
CN109890323A (en) * 2016-10-27 2019-06-14 急速医疗有限公司 Braided silk endoluminal device
CN109890323B (en) * 2016-10-27 2023-09-12 急速医疗有限公司 Braided wire tube lumen device
CN108095804A (en) * 2018-02-10 2018-06-01 郑州大学第附属医院 A kind of cerebrovascular can the multi-functional inner support loading recycling of transformative and release device
CN108095804B (en) * 2018-02-10 2023-08-08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Multifunctional inner bracket loading, recovering and releasing device for cerebral vascular variability
CN108158630A (en) * 2018-02-26 2018-06-15 上海加奇生物科技苏州有限公司 A kind of Intravascular Thrombus catching device
CN114191154A (en) * 2022-02-18 2022-03-18 天津市环湖医院 Integrated plug taking support with gradually-changed dia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612B1 (en)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1077A1 (en) Stent module for removing blood clots
WO2016047986A1 (en) Intravascular apparatus for thrombus removal and blood flow restoration
EP2629700B2 (en) Prosthesis delivery system
EP3003175B1 (en) Thrombus removal and intravascular distal embolic protection device
US20160367285A1 (en) Thrombus removal and intravascular distal embolic protection device
JPS612842A (en) Recovery device of foreign matters in body cavity
EP1623680A2 (en) Deployable recoverable vascular filter
WO2014193143A2 (en) Catheter for removing foreign body from blood vessel
JP6333585B2 (en) Capture tube mechanism for delivering and releasing a stent
CN105208950A (en) A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KR20210007887A (en) Streamlined treatment of clot removal, angioplasty and prevention of restenosis using a single integrated intravascular device
CN110584742A (en) Vascular embolic capture device
US20070244503A1 (en) Method for filtering embolic material
CN113081382B (en) Plug protection device and recovery method
CN110494099B (en) Device and method for clot and plaque contraction
CN107126298A (en) The interim embolization protective device of recoverable sustainer
WO2023101453A1 (en) Balloon guide catheter
JP2014054520A (en) Bi-directional collecting large vein filter
WO2020153613A1 (en) Balloon unit for endoscopic papillary dilation
WO2021246724A1 (en) Calculi removal device
EP4023173A1 (en) Fibrin rich / soft clot 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CN215228050U (en) Embolic protection device for tortuous vessels
WO2023015652A1 (en) Thrombus removal device
WO20182259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branched stent
CN109224261B (en) Anti-displacement biliary tract internal drainage tube and implan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67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67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